본문 바로가기
축산이슈/K-Food· ODA

닭 40만마리를 해치우는 ‘난리굿’을 축제라니

by 큰바위얼굴. 2014. 7. 28.

닭 40만마리를 해치우는 ‘난리굿’을 축제라니

 

경향신문 2014.7.27

 

 

삶과 생존은 다르다. 그래서 죽지 못해 산다는 말이 있다. 숨은 붙어 있지만 살고 있는 것 같지가 않을 때 나오는 말이다. 여기에는 삶을 원하지만 생존을 하고 있으니 참으로 원통하다는 마음도 담겨 있다. 그저 목숨을 부지하는 것으로 인생이 충분하다면 왜 이런 호소가 나오겠는가. 사람은 빵 또는 밥만으로 살 수 없기에 뭔가 질적으로 나은 생활을 하게 될 때 비로소 사는 데 급급하지 않은, 진짜 사람답게 산다고 우리는 말한다.

요즘처럼 경쟁 시대에 이게 웬 호사스러운 말인가 싶은 사람은 자신을 돌아보라. 정말로 더 나은 삶의 질을 추구하지 않는지. 중요한 날엔 좀 근사한 데에서 식사하며 기념하고, 자주는 못 읽어도 어쩌다 기분이 동할 땐 미루던 책을 집어 몇 줄이라도 읽어본다.

내 직장과 커리어와 무관한 것인데도 말이다. 영화나 공연으로 굳어만 가는 감수성을 잠시나마 회복시켜보고, 새 옷 한 벌로 기분전환을 시도해보기도 한다. 강연장을 기웃거리고, 괜히 기부도 하고, 안 하던 봉사활동 기회도 찾아본다. 더욱이 사랑하는 사람 앞에선 좀 더 큰 사람이 되고 싶다. 인간이란 그런 존재이다. 정신을 고양시키고 싶은 동물이다.

그런데 잘 안 된다. 정말 원하는데도 환경이 받쳐주질 않는다. 갈 데가 없다고, 사람들은 말한다. 사실이다. 마음을 한 차원 더 성숙시켜줄 자유롭고, 아름다운 물리적 공간만이 없는 게 아니라, 그 마음을 보듬고, 자극하고, 키워주는 정신적 환경도 없다. 옛날 옛적에는 있었는지도 모른다. 고요한 아침과 선비정신, 풍류와 강강술래의 나라에서는 사람이 사람답기가 더 수월하지 않았을까. 지금은, 너무나도 어렵다. 정신은 잘 보이지 않고 말초적 감각만 눈에 띈다. 외출을 해보라. 식욕과 성욕, 그리고 소비욕의 코드를 꽂을 콘센트만이 즐비하다. 그중에서도 먹기에 대한 열기가 가장 기세등등하다. 어느새 문화가 깃들었던 것은 모두 먹을거리로 대체되었다. 아니, 이제는 먹을거리가 곧 문화라는 등식마저 성립한다. 모든 환송회도 환영회도 밥으로 시작해서 밥으로 끝나고, 모든 결혼식도 장례식도 식사가 핵심이다. 모든 동문회도 체육대회도 야유회도 식순(式順)보다 식순(食順)이 중요하다.

일러스트 | 성덕환 기자


이 현상은 소위 말하는 ‘축제’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축제는 한 사회적 집단이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를 드러내는 대표적 표현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땅에서 벌어지는 거의 모든 축제는 ‘단체로 뭔가를 먹는 행사’의 또 다른 표현일 뿐이다. 얼핏 보면 축제라는 말 앞에 붙는 그 대상을 받드는 것 같지만, 실은 그것을 마구 섭취하는 행위를 정당화하는 자리일 뿐이다. 물론 음식은 삶의 기초이다. 하지만 ‘식문화’라는 말처럼 무엇을 어떻게 먹는지에 따라 단순섭식이 될 수도 있고, 정신을 고양시키는 문화가 될 수도 있다. 은은한 도자기나 놋그릇에 소박하게 담겨 나오는 한정식에서 이런 문화가 엿보인다. 김밥의 색동 단면, 동치미에 띄운 어슷 썬 붉은 고추 한 조각에서 세련된 미학이 느껴진다. 시를 읊으며 주고받던 술잔, 곧게 앉은 자세로 하던 정자 위 식사엔 우리만의 멋이 있다. 먹을 때 먹더라도 멋있게 먹을 줄 알았던 한때 우리네 식문화에 비춰보면, 팔도강산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저잣거리로 만드는 이 오직 먹기를 위한 먹기는 도저히 문화라는 말을 붙이기가 힘들다. 문화가 없는 식(食)인데 어찌 축제인가 의아할 따름이다.

식사의 문화적 측면이 혼란스러운 이때에 우리를 강타한 것이 바로 대구 ‘치맥’ 축제이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거리응원, 야식, 퇴근 후 한 잔의 정식 메뉴로 채택되면서 이곳은 닭튀김 냄새가 진동하는 땅이 되어버렸다. 알고 보면 ‘치와 맥’의 음식궁합이 안 좋다는 사실, 튀긴 음식과 지나친 육식의 건강상 문제, 매년 수억마리가 도축되는 공장식 축산 실태 및 이에 따른 윤리적 문제 등은 일단 차치하기로 하자. 안 그래도 차고 넘쳐나는 것이 치킨집인데, 그것의 초대형 블록버스터 버전이 탄생한 것이다. 한 기사의 제목대로 ‘40만명이 닭 40만마리를 해치우는’ 이 난리굿은 거의 닭에 대한 선전포고 수준이다. 끈적끈적한 기름과 맥주의 누런 바다에 해운대 인파처럼 모인 이 인해전술 닭 전쟁은 대구의 전통은 물론 아니요, 축제로 기릴 우리의 식문화도 아니다. 드라마 주인공의 한마디에 중국 사람들이 잠시 ‘치맥’을 좋아했다고 해서 한국이 김구가 말한 ‘아름다운 문화국가’에 조금도 가까워지지 않는다. 돈이 되지 않느냐고, 흔히들 얘기한다. 그렇다면 돈벌이지, 문화는 결코 아니다. 축제라는 설레는 이름이 더 이상 천박해지지 않도록, ‘치맥’과 같은 합성어들이 제거된 식문화가 어서 돌아오기를, 야생학교는 염원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