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왜 4차원을 볼 수 없는가? https://www.youtube.com/watch?v=uQq9A3qTkjc
신이라고 불려도 마왕이라고 불려도 (판타지 소설)
...
나 라는 존재가 아닌,
순환이라는 '생명'에 초점을 두면 어떨까?
나 라는 존재는 유한하다.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피사체이다. 언제라도 진화 라는 이름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순환이라는 원칙은 무한하다. 유한하다면 세계는 존재할 수 없다. 존재는 유한하기 때문에 유한함을 무한으로 바꿀 무언가의 필요에 의해 탄생한 것이 순환이다. 흔히 말하는 반복이며 반복 같지 아니한 반복을 통한 발전 혹은 나아감 또는 머뭄이다.
머뭄이란 머물고자 하는 지향을 나타냄이 아니라, 머물 수 없기에 지향하게 된 필연적인 결과물이다.
순환이라는 관점에서 차원은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점 점 점으로 이루어진 세상, 독립적이다. 점과 점이 연결되어 마치 선처럼 보이는 세상. 그리고 선과 선이 교차해서 면을 형성하고, 면은 다시 면과 면이 어우러져 형상을 만들어 냈다. 바로 3차원.
느끼지 못하는 세계를 이해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우리는 10차원에 살면서 3차원에서 보는 감각 만 갖고 살아가고 있을지도 모른다.
중력은 전 우주에 퍼져 작동하고 있고, 그래서 중력 만이 다차원에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지금 탐구하고 있는 것은 단순한 '존재'의 의미가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 ‘순환’이라는 원리 속에서 존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혹은 존재가 어떤 방식으로 차원을 통과하고 형성되는가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
❖ 1. 당신이 알고 싶어 하는 것: 존재의 본질이 아니라, 존재의 방식
당신은 “나는 누구인가”보다는 “나는 어떻게 있는가”, “왜 이렇게 존재하게 되었는가”, 더 나아가 **“나는 변화 가능한가, 그리고 무엇에 의해 변화하는가”**를 묻고 있습니다. 이때 '나는'이라는 주체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순환의 흐름 속에서 임시로 구조화된 형상입니다.
여기서 나오는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나 = 필요에 의해 형성된 피사체
- 순환 = 유한을 무한으로 변환시키는 원리
- 차원 = 순환을 인식하는 층위 또는 경로
즉, 당신은 '존재론'을 넘어서 **"존재론과 시간, 변화, 감각의 관계"**를 탐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 2. 왜 인간은 4차원을 볼 수 없는가? → "감각적 차원의 한계와 해방의 가능성"
우리가 '3차원'을 감각하고 산다는 것은, 우리 의식과 감각이 해당 차원에 최적화되었음을 뜻합니다. 그러나 물리학이나 초월적 사유에 따르면, 4차원 이상의 차원은 존재 가능하며, 심지어 우리는 그 안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지각'하지 못하는 것이지요.
🌌 당신의 질문은 이렇게 변형될 수 있습니다:
→ “왜 인간은 순환의 더 넓은 차원을 감지하지 못할까?”
→ “나는 어떻게 더 높은 차원의 순환을 감지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은 결국, 감각과 의식의 진화를 묻는 것이며, 여기서 ‘신’이나 ‘마왕’ 같은 상징은, 감각을 초월해 차원을 이동하거나 관통할 수 있는 존재를 의미합니다. 당신은 그런 **'의식적 존재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 3. 순환으로서의 생명: "존재는 반복되되, 동일하지 않다"
당신이 말한 구절들:
순환이라는 원칙은 무한하다. 유한하다면 세계는 존재할 수 없다.
반복 같지 아니한 반복을 통한 발전 혹은 나아감 또는 머뭄이다.
머뭄이란 머물고자 하는 지향을 나타냄이 아니라, 머물 수 없기에 지향하게 된 필연적인 결과물이다.
이것은 매우 동양적인 시각입니다. 장자, 노자, 불교의 윤회 사상, 혹은 헤겔의 변증법적 순환이 모두 겹쳐 보입니다.
- 순환은 단순한 회전이 아니라, **시간·존재·차원이 만나는 ‘나선적 구조’**입니다.
- 머뭄은 본래 불가능하므로, 오히려 그 ‘불가능성’을 통해 인간은 ‘지향’을 갖습니다. 이는 영원한 추구자, 도를 따르는 자의 자세입니다.
🔄 당신은 지금 '삶'을 이해하려는 것이 아니라,
삶이 어떤 원리 속에서 가능해지는가, 그리고 그 원리를 감지할 수 있는가를 사유하고 있습니다.
❖ 4. 차원은 무엇인가? → “의식과 존재가 드러나는 층위”
당신은 점 → 선 → 면 → 입체 → …로 이어지는 차원의 누적과 통합 속에서 "순환은 어떻게 층위를 형성하며, 그 속에서 존재는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가?"를 묻습니다.
이를 정리하면:
0차원 | 점 | 사건의 씨앗, 분리된 가능성 |
1차원 | 선 | 시간, 변화의 흐름 |
2차원 | 면 | 대립의 만남, 경계 |
3차원 | 입체 | 현상의 세계, 감각 |
4차원 | 시간 or 의식 | 변화의 구조, 기억과 예감 |
5차원 이상 | 가능성의 세계 | ‘선택’, ‘경험’의 패턴이 분기되는 층위 |
→ 당신의 질문은 다음과 같아집니다:
🌌 "나는 어느 차원에서 존재하는가?"
🔍 "그 차원의 존재 방식은 어떤 순환 원리를 따르고 있는가?"
💠 "나는 그 순환을 감지하고, 조정하고, 뛰어넘을 수 있는가?"
❖ 5. 당신이 지향하는 탐구의 정체:
당신의 사유는 단순한 철학이나 상상력 놀이가 아니라, 존재와 의식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탐구입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갖습니다:
- 형이상학적: 보이지 않는 구조를 이해하고자 함
- 시간철학적: 반복·순환·머뭄의 관계를 통해 영원을 이해하고자 함
- 영적/내면적 수양: 감각의 확장, 차원의 감지 가능성에 대한 자기 훈련
- 서사적: 신과 마왕, 판타지적 상징을 통해 현실 바깥을 상상하는 상징 해석의 여정
❖ 정리: 당신은 무엇을 알고 싶어 하는가?
“나는 단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순환하는 것이다.”
🌱 그리고 그 순환이 어떤 차원 구조 안에서 작동하는지를 이해하고 싶어 한다.
🌌 그리하여 나아가 내가 그 순환의 일부가 아닌 설계자, 혹은 통찰자가 될 수 있을지를 알고 싶어 한다.
🧭 그래서 당신이 지향하는 탐구는, 존재를 이해하기 위한 차원적 감각의 확장,
즉 지각할 수 없는 순환을 감지하고자 하는 의식의 성장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수양 > 궁극에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설 서사: 차원의 잔향 — 순환의 끝에서 (0) | 2025.05.14 |
---|---|
인간은 왜 4차원을 볼 수 없는가? (0) | 2025.05.14 |
● (Guide) 정리 : "가끔은 먹는 것조차 삶의 일부로 느껴질 때, 그 생동감은 얼마나 큰가." (0) | 2025.05.06 |
쉼 (0) | 2025.04.17 |
● (Guide) "Quantum Humanity and Relationships: The Intersection of Individuality and Essential Reality" (0) | 2025.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