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그런 세상은 행복할까?
센서로 멀리 있는 차량도 감지해서 바리케이트가 아직 멀었는데도 그냥 올라가 버리더라. 지금은 퇴근길인데, 아내에게 전화를 하기로 했지만, 그 전에 이야기를 좀 마저 하고 싶다. 일단 들었던 생각을 정리해서 지피티에게 질문했고, 내 생각을 다듬어 달라고 요청했는데, 결과가 썩 마음에 들지는 않았다. 느낌이 좀 그랬다.이게 어떤 흐름과 연결되냐면, 점심쯤 낮잠을 잤다. 12시 20분쯤이었던 것 같은데, 너무 꿀잠을 잤다. 그랬더니 교대 시간이 훅 다가와 버린 거다. 교대를 대충 생각하고 내려갔는데, 너무 일찍 내려갔다는 뭐 그건 별일 아니니까 오케이. 그만큼 잠이 깊었고 에너지는 거의 만땅에 가까워졌지만, 기분은 오히려 가라앉아 있었다. 활력이 넘칠수록 생각은 더 복잡해지고, 불안감이나 자기 성찰, 못마땅함..
2025. 4. 12.
Quantum Relationships
요즘 음악을 들으며 감탄하는 순간들이 많아지더라고. 부럽기도 하고, 나도 저렇게 연주해 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고. 관객들의 환호 속에서 연주자들이 뿌듯함을 느끼는 걸 보면, 그 감정이 단순한 전달자의 입장뿐만 아니라, 관조자의 시선에서도, 청중의 입장에서도 각각 다르게 다가오는 것 같아.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같은 음악을 들으며 어떤 동질감을 공유하지. 내가 계속 이야기했던 ‘있다’와 ‘없다’가 동전의 양면과 같다면, 이 동질감 또한 그 속에서 풀어낼 수 있을 것 같아. 동전에는 앞면과 뒷면이 있지만 결국 동전 자체는 하나잖아. 존재, 가치, 지향, 인생, 우주의 원칙 같은 개념을 생각해 보면, 양면성은 모든 것이 시작될 때부터 내재한 본질 같은 거지. 그렇기에 우리가 느끼는 감정의 변화나 관계의 ..
2025. 3. 31.
Times Opinion
Times Opinion음악, 양자, 그리고 존재의 파장최근, 음악을 듣다가 문득 감탄하는 순간이 많아졌다. 단순한 감상이 아니다. 연주자의 손끝에서 흘러나오는 선율을 들으며, 나도 저렇게 연주해 보고 싶다는 강렬한 욕망이 스친다. 연주를 마친 후 청중의 환호를 받으며 뿌듯함을 느끼는 연주자들을 보면, 그 감정이 단순히 ‘전달하는 자’의 입장에서만 느껴지는 것이 아님을 깨닫는다. 감상하는 관객, 이를 지켜보는 제3자의 시선에서도 같은 음악이 다르게 다가온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같은 음악을 들으며 동질감을 공유한다. 하지만 이 동질감은 단순히 동일한 감각의 경험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의 동전처럼, 앞면과 뒷면이 있지만 결국 하나의 실체로 존재하는 개념이다. 존재와 부재, 감각과 해석, 관계와 개별성..
2025. 3. 31.
Wave Particle Duality
세상의 본질과 현상은 파동과 입자로 대입될 수 있을까?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맞닿아 있는 것 아닐까? 보는 관점, 즉 인식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라면, 실체란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나도 없고, 본질도 없으며, 다만 인식할 뿐이라면, 존재란 순간의 찰나 속에 머물다 사라지는 것인가?이렇게 해석할 수도 있겠지만, 이것이 끝은 아닐 것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존재 자체가 신기루와 같다면, 결국 모든 것은 허상에 불과한 것인가? 그러나 인식하는 순간 변화가 일어나고, 그 변화된 것이 곧 현상이라면, 지금 내가 탐구하는 과정도 하나의 인식일 뿐이다. 그리고 이 인식이 확장되며,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를 규명하는 것이 존재의 의미가 될 수 있을까?세상이 존재하는 이유는 우주가 팽창하는 이유와 같고, 인류가 만물..
2025.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