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이 30 일 이유가 있는가?
월 단위 편차는 작업일수 차이인 것이 가장 큰 요인이라면, 굳이 월 단위 결산 때문이 아니라면 작업일수를 동일하게 놓은 상태에서의 변동성을 살펴보는 게 바람직하다. 다른 요인에 보다 집중할 수 있다. 디테일한 변화상을 살펴보고, 현 상황을 진단한 다음, 향후 중장기로 미칠 영향에 대해 생각하여 예측값에 반영한다.
이에 대한 메모를 보며, 수급 예측에 있어서의 기준을 설정해 나가고 있다.
월별, 시계열별 비교 외, 주기와 보정값 추가
가령, 월평균 사용 시 작업일수 증가로 생산량이 증대되지 않고 보정되도록 하는 방향
(주이동평균처럼; 10일, 20일, 30일, 60일, 90일처럼 월 도축일수 변동성 제외시키고,
명절, 캠핑 등 특이수요 기간을 매년 특정회차에 포함시켜 월간 포함여부에 따른 특이점과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방향)
고능력우와 비육, 번식 비율, 농가 등 바탕
사육마릿수 자체도 예측
송아지 출생두수도 예측해서 출하두수와 비교
출하량과 경매량 간 예측으로 도매가격과 소비자가격 간 예측 가능 연계
'축산발전연구 > 수급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대출 = 시장심리 (0) | 2023.11.06 |
---|---|
서울이 다른 도시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유리하다. (0) | 2023.11.04 |
중국 건설업 생산이 10% 감소하면 우리 국내총생산(GDP)이 0.4% 감소 (0) | 2023.11.03 |
수급정책의 향방, 그 중요성. 부동산 사례 (0) | 2023.11.01 |
2023년 미국, 예상 외 ‘소비 호황’ 3가지 이유 (0) | 2023.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