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해 10~12월 발생해서 다음해 2~4월까지 상당한 피해를 끼친다.
올해는 다소 늦게 발생해서 인지 인접지역간 전파속도가 빠르다. 2023.12.11. 기준
![](https://blog.kakaocdn.net/dn/b6fHqc/btsBT1JCb0Y/MJ7wySKcrAt0IGa5gBd8D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38o3/btsBYrObLYn/qO7x1ayS2d0qmq53S84K5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O5ba/btsBTX1qqHl/FWKHw0kskwBQG4lXyLj1u0/img.jpg)
231212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속도001 (1).jpg
0.32MB
231212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속도002 (1).jpg
0.39MB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현황(20180101~20231211) 분석 - 복사본.xlsx
0.12MB
231212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속도 (1).hwp
0.41MB
'축산발전연구 > 가축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F (아프리카 돼지 열병) 방역대책 수립 w/ ChatGPT (0) | 2024.05.22 |
---|---|
멧돼지 포획 (1) | 2023.12.14 |
코로나19는 빙산의 일각? 다음 예상 팬데믹은 ‘이것’ (1) | 2023.11.22 |
아프리카 돼지 열병, 경북 봉화 (0) | 2022.12.11 |
계란값 상승, AI 발생으로부터 자유를 찾는 길 (0) | 2021.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