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PM은 “소비가 위축되고 김영란법이 시행되고 있는데다 미국 소 가격하락으로 미국산 쇠고기 수입량이 증가할 것”이라며 “조사료 수급이 불안하고 원료가격 상승으로 축산물 생산비가 상승할 수 있으며, 질병 발생 가능성도 상존하는 만큼 한우 산업의 위협요인을 잘 분석하고 사업을 구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한우고기 공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한우 도매가격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특히 11월의 경우 2등급과 3등급의 도매가격이 전년 대비 11~15%, 육우 도매가격은 1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 점은 낮은 등급에서 수입육 대체 현상이 뚜렷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최승철 건국대 교수는 “한우의 경우 도매시장을 거치기 때문에 유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축종에 비해 크다”면서 “유통비용 절감과 산지와 소비지 가격연동성 제고를 위해선 패커육성을 위한 유통구조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사육단계부터 도축·가공·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아우를 수 있는 협동조합형 패커육성으로 유통비용 절감과 산지와 소비지의 가격연동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교수는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설도나 우둔 등의 선호와 단가가 낮은 원료를 활용해 실온유통이 가능한 2차 가공품을 생산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비선호 부위를 활용해 시장 진입이 수월한 이동갈비나 주물럭, 건조육 제품 등을 생산하면 재고 관리도 용이하고 부가 수익도 얻을 수 있어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라고 말했다.
남인식 교수는 정부의 인증제도를 적극 활용해 육우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남 교수에 따르면 2015년 12월 기준 소농장은 전체 대상 농장 1만4084호 중 3316호만(23.5%) 농장 HACCP 인증을 받았는데, 돼지(49.6%)나 닭(106.6%)보다 상대적으로 인증 비율이 낮은 상황. 이에 남 교수는 육우 농장들이 HACCP이나 친환경, 동물복지 등의 정부 인증제도를 활용해 소비자에게 육우가 안전하다는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명철 농림축산식품부 과장은 “청탁금지법 시행 후 가격동향 분석결과 도매가격과 소비지 가격이 연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확인돼 이를 개선하기로 했다”며 “이번 대책 추진으로 향후 5년간 생산액은 3조9670억원이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며, 후속 조치로 내년 1월부터 세부과제 로드맵을 마련, 추진 상황을 관리·점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축산이슈 > 시장상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T 10대 이슈 (0) | 2016.12.20 |
---|---|
위기의 통계청…‘통계독점’ 끝난다 (0) | 2016.12.12 |
외국어를 몰라도 해외여행을 하거나 영어로 된 문서를 읽는 데 큰 불편함이 없어진다 (0) | 2016.11.30 |
“구제역·AI 살처분 가축, 매몰 대신 소각해 퇴비 활용” (0) | 2016.11.09 |
이슈! 찬반토론-쇠고기 등급제 개편 (0) | 2016.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