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추이 예시
변동추이로 봤으면 하는 면
가격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다. 어쩌면.
그래서, 중심축을 그어본다.
잘 보려면 변동성으로 볼 필요가 있다.
가령, 한우거세 경락가격이 평년 평균 20500원/kg으로부터 위/아래로 800원 변동값이 생겼다고 한다면, 중심축으로부터 한우거세 가격은 그 정도 선에서 시장이 반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쉽게 변하지 않는 습관, 인정될 만한 변동성, 너무 높아도 너무 낮아도 혹은 갑작스런 급등과 급락 회피 성향 등을 두루 고려한다면, 더구나 납품 받는 곳이 자꾸 바뀌는 가격을 싫어한다는 점을 반영하면 더욱 변동성 한계치가 발견될 것으로 가정한다.
2022.9.이후 하락세로 급락하던 한우거세 경락가격이 16000원/kg 저점이후 반등했다는 점을 기초로 (나라면 이럴꺼다 라는 관점에서) 중심가격을 잡아본다.
2022년 21500원/kg으로부터 하락세로 전환되어 월 단위 비교는 착시효과를 줄 여지가 크기 때문에 월 단위 공급량 관점의 평년대비 혹은 전년대비 측면은 예측에서 제외한다.
2023.1. 한우거세 평균가격 17672원/kg
2023.2. 18353원/kg
2022년 중심가격을 21500원/kg으로부터 +700원/kg, -3200원/kg은 배제한다.
다만, 21500원/kg은 기대값으로 고려하되 상한선이 될 여지가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
(시나리오1) 한우거세 경락가격 평균이 20200원/kg이기 어려운 이유는 변동성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
(시나리오2) 한우거세 경락가격 평균이 18000원/kg이기 어려운 이유 또한 한 해 변동성이 지나치게 크고, 2024년 공급량 피크를 예상하고 있으며 금리인상에 따른 소비지출 여력이 쉽게 지갑을 열게 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한다.
(시나리오3) 한우거세 경락가격 평균이 19200원/kg에 가까운 이유는 21500원/kg으로부터 2300원 낮아져 한우볼륨을 11% 가량 낮춰 잡아 금리인상율 16% 인상분을 고려함과 동시에 수요처의 일명 박리다매(낮아진 가격으로 더 많이 판매하기) 전력투구 노력을 고려하여 19200원/kg 대비 위로 800원, 아래로 800원 감안하면 상한가격은 20000원/kg, 하한가격은 18400원/kg 선을 나타내야 하지 않겠는가 하는 소견을 담아내어 본다. 성호.
이런 판단이라면 푸쉬하는 조치들을 추스리고 실제 기반을 다져 수요를 확장시키는 면을 키우되, 박리다매형 한우 시장은 돼지 등 다른 육류에 재고라는 부담을 줄 수 있으니 할인행사 보다는 쪽집게처럼 집어서 필요수요량 만큼 각 채널을 넓히되 향후 쪼그라들 걸 감안하고, 한우 26만톤의 19200원/kg은 110만톤의 4800원/kg을 대비해볼 때 삼겹살 재고, 후지 재고, 미국산 목전지 5600원/kg 대비 국산 후지 3800원/kg은 한우 평균가격이 21500원/kg으로부터 19200원/kg으로 하락안정세를 형성된 면 보다 심각할 수 있다. 육계 산지가격은 3.17. 2700원/kg으로 고점을 형성해서 2.16. 저점 1600원/kg으로부터 횡단을 한 상황이다 (육계 변동성은 2200원/kg 대비 ±500원 예상, 평년 기준 대입).
한우 시장은 소비촉진이 필요한가?
한우 공급 증가 국면을 돼지 재고 증가, 육계/오리 생산성 저하로 인한 공급 감소 측면 등과 두루 고려하여 육류 시장 총체적인 관점에서 조치가 시행되길 바라본다. 성호.
'축산발전연구 > 수급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경매 도입이 지닌 기회 요인 (혹은 분란 요인) (0) | 2023.03.27 |
---|---|
(전망) 한우 수급단계 전망 시뮬레이션과 2024.9. '심각' 경보 발령의 다른 판단례 (0) | 2023.03.27 |
1개월 시차인가? (0) | 2023.03.24 |
수입 돼지고기 주요 판매처 (0) | 2023.03.24 |
2023.2. 소비자물가(통계청) (0) | 2023.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