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이슈/시장상황

2016 정부 예산안

by 큰바위얼굴. 2015. 9. 9.

"복지에 123조 쓴다"…사상 처음 전체 예산의 31% 초과

SBS 2015.9.6

 


 



    네, 여기 제 뒤에 보이는 것이어제 정부가 발표한 내년도 예산안입니다.

    가장 큰 동그라미 속의 예산안이, 바로 보건 복지, 노동 분야인데요.

    전체 3분의 1에 가까운 비중, 31.8퍼센트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다음에는 일반 지방행정, 교육 그리고 국방예산 순이 뒤를 이었는데요.

    저 위에 보이는 6.6조원이 책정된 문화예산의 경우 액수는 적어보이지만, 올해와 비교하면 7.5%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우선 복지예산의 경우 일자리 예산 15조 8천억원이 책정됐는데요.

    우선 앞서 리포트에서 본대로, 대기업과 공공기관을 통한 만명 수준의 청년 일자리 프로그램, 그러니까 고용디딤돌 프로그램이 포함됐습니다.

    또 현재 중소기업에만 적용되는 청년인턴제도를 중견기업까지 확대하고, 정규직 채용시에는 정부지원과 함께 1인당 최대 3백만원을 지원합니다.

    저소득층의 자활을 돕는 저축 프로그램도 생겨나게되는데요.

    기초수급자가 5만원이나 10만원을 매달 저축하면 그만큼의 액수를 정부가 함께 넣어줍니다.

    SOC예산의 경우에는, 올해보다 예산이 6%나 줄어듭니다.

    성과는 나지 않으면서 돈만 쓴다는 지적이 있어 왔는데, 기획재정부는 사실 올해 추경 예산안의 SOC예산을 포함하면, 실질적으로 줄어드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체를 아울러보면, 3%라는 지출 증가율은 금융위기 발생 직후인 2010년의 2.8퍼센트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데요.

    그만큼 지출을 늘릴수 만은 없다는 것입니다.

    발표된 내년 총수입은 391조5000억원으로 올해보다 2.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는데, 그럼 386조 7천억원과, 391조 5천억원 액수로만 봐도 거의 남는게 없다는 것이죠.

    올해 추경 지출인 9조3천억원까지 합치면 역시 나라빚은 더 늘어나게 됩니다.

    앞서 정부는 내년예산 편성에 지출은 늘리지만, 빠듯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는데요.

    경제전망이 어두워 세수가 줄겠지만, 일단 경기 부양을 위해 재정을 풀겠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정부가 강조해온 균형 재정, 사실상 불가능해졌습니다.

 

 

..............

 

복지 예산 비중 역대 최고?…연금 자연 증가분이 절반

 

한겨레 2015.9.8

 

 

예산안 내용 뜯어보니
저출산과 고령화, 사회 양극화 등 복지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데 비해 정부의 복지지출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8일 정부는 내년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복지예산 비중이 31.8%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으나, 이는 복지지출을 크게 늘렸다기보다는 전체 예산 증가율이 3.0%로 소폭 늘어나는 데 따른 ‘착시효과’에 가깝다.

기초·4대연금 3조4천억 늘어
생계급여 5만원 인상
부양의무자 사각지대 여전
“일자리 예산 12.8% 증가”
실업급여 증가분 빼면 9%대

복지지출은 내년에 6.2%(7조2000억원) 늘어난다. 내년 예산 가운데 문화·체육·관광(7.5%) 다음으로 증가율이 높다. 하지만 늘어난 복지예산을 살펴보면, 정부가 복지제도의 대상과 수준을 확대하는 등 정책적 의지를 보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늘어나게 돼 있는 자연증가분이 절반 이상에 이른다. 노사의 보험료로 이뤄진 국민연금이 1조9613억원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공무원에게만 혜택이 가는 공무원연금과 군인·사학연금도 1조848억원 늘었다. 4대 공적연금 증가분만 3조461억원으로 42.3%를 차지하고 있다.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기초연금도 자동으로 3528억원 늘어난다.

큰 폭으로 늘어난 복지예산으로는 구직급여(실업급여) 가 두드러진다. 내년에 구직급여 예산은 1조144억원이 늘어난다. 실업급여 지급기준이 평균임금의 50%에서 60%로 늘어나고, 지급기간도 30일 확대되는 예산안을 정부가 짠 까닭이다. 실업급여 수준을 올리는 데 들어가는 예산만 6382억원이다. 그러나 정부는 쉬운 해고, 임금피크제 도입 등 노동개혁에 노사정이 합의를 하지 않으면, 이 예산은 빼겠다고 밝혔다.

반드시 써야 하는 법적 복지의무지출은 늘어나고, 정부 재정 규모는 거의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빈곤층에 대한 지원은 미흡하다. 정부는 생계급여가 40만7000원에서 45만6000원으로 약 5만원 인상되면서 기초생활보장 예산이 6532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자녀 등이 있다는 이유로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는 부양의무자 사각지대 문제는 그대로 남게 됐다. 김윤영 빈곤사회연대 사무국장은 “빈곤층임에도 부양의무자 문제 등으로 기초생활수급자가 되지 못해 사각지대에 방치된 사람들이 410만명이다. 부양의무자 기준을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자리 예산도 논란이다. 정부는 내년 예산은 “일자리 기회를 확대하는 청년희망 예산”이라며, 일자리 예산을 12.8%(1조8000억) 늘렸다고 밝혔다. 하지만 노동개혁이 실패해 실업급여 증가분인 6382억원이 빠지면 일자리 예산도 증가율은 9%대로 떨어진다. 또 대기업에서 직업훈련을 받으면 지원하는 고용디딤돌 프로그램(418억원), 중견기업 인턴제(1만5000명→3만명) 등 일자리 사업 상당수가 훈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채용을 하면 지원하는 사업도 있지만 세대간 상생고용 등 임금피크제를 도입해야 가능한 만큼, 실효성에 대한 의구심이 크다.

교육예산은 0.5%(3000억) 증가하는 데 그쳤다. 교육부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고교 무상교육 예산 2461억원을 기획재정부에 요청했으나 전혀 반영되지 못했고, 초등 돌봄교실은 교육부가 아예 예산 신청을 하지 않았다. 누리과정(만 3~5살 무상보육) 예산은 시·도교육청이 전액 부담하게 됐다. 반상진 전북대 교수(교육학)는 “0.5% 예산이 증가한 교육예산 편성은 역대 정부에서 본 적이 없다”며 “교육을 홀대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시·도교육감들과 중앙정부 간 갈등만 커지게 됐다”고 말했다.

국방예산은 내년에 4%(1조5000억원)가 늘어 문화, 복지, 일반 행정 다음으로 증가율이 높다. 잠수함 전력을 구축하고, 비무장지대(DMZ) 지역의 전력이 보강된다. 국방예산이 늘어나는 것을 두고도, 지난해 통영함 납품 비리 등 방위사업 비리 근절 대책이 먼저 나와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