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도체 정육생산 추정량은 (2013년) 272,389톤 -> (2014년) 272,809톤 -> (2015년) 267,200톤으로 변화했으며, 이는 출하두수와 도체중 증가와 관련이 깊다. 우리나라 쇠고기 자급율이 50% 수준이므로 총 소비량은 약 50만톤에 이른다고 단순 추산할 수 있겠다. 김성호.
2015년도 소도체 정육생산 추정량
2015년도 돼지도체 정육생산 추정량
돼지도체 정육생산 추정량은 (2013년) 953,597톤 -> (2014년) 931,474톤 -> (2015년) 945,453톤으로 변화했으며, 이는 출하두수와 도체중 증가와 관련이 깊다. 우리나라 돼지고기 자급률이 80%를 상회하는 수준이므로 총 소비량은 대략 100만톤 수준으로 추산할 수 있다. 김성호.
정육생산 추정량을 기간별로 나눠 본다거나 그 이전 자료를 섬세하게(?) 보고 싶다면,
http://www.ekapepia.com/202.su
도움이 되길 바라며. 김성호.
'축산알기 > 국내실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별 1인당 육류 소비량 : 2015(예측), 2016(전망) (0) | 2016.04.05 |
---|---|
(2015 축산물등급판정 통계 추려보기) 소, 돼지 타시도로의 가축이동 현황 (0) | 2016.03.18 |
(2015 축산물등급판정 통계 추려보기) 한우 출하중량/도체중량, 도체율 변화 1997~2015 (0) | 2016.03.18 |
(2015 축산물등급판정 통계 추려보기) 한 해 한우 출하농가 수 (0) | 2016.03.18 |
식육가공품 판매량(1989~2014) (0) | 2016.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