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발전연구

2014년 1월 17일 AI 발생... 해외질병발생동향을 눈여겨 봐야

by 큰바위얼굴. 2014. 1. 20.

불안불안하다. 언제 터질 지 모르는 시한폭탄을 안고 살고 있는 듯 하다. 터지고 나서 초동대응을 통해 확실히 잡으면 '박수'를 쳐주자.

다만, 터지지 않고 안심하고 사는 것을 바라는 것은 지나친 욕심일까? 

 

이럴 때면 항상 다른 나라가 궁금해진다. 오르내리는 뉴스만 보노라면 미국의 광우병이나 중국, 대만의 조류인플루엔자,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중동호흡기증후군 등 업데이트되는 자료만 보더라도 상당히 곤란한 상황임을 짐작하게 한다. 

 

 

<질병관리본부 알림/해외질병뉴스>

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0101.jsp?menuIds=HOME001-MNU0005-MNU0023&fid=5&q_type=&q_value=&pageNum=3

 

556 [중국] 조류인플루엔자(H7N9) 상황보고(14. 1.16) 검역지원과 2014-01-17
555 [중국] 조류인플루엔자(H7N9) 상황보고(14. 1.15) 검역지원과 2014-01-16
554 [중국] 조류인플루엔자(H7N9) 상황보고(14. 1.14) 검역지원과 2014-01-15
553 [중국] 조류인플루엔자(H7N9) 상황보고(14. 1.13) 검역지원과 2014-01-14
552 [중국(홍콩)] 조류인플루엔자(H7N9) 상황보고(14. 1.10) 검역지원과 2014-01-13
551 [대만] 조류인플루엔자(H7N9) 상황보고(14. 1. 7) 검역지원과 2014-01-08
550 [중국] 조류인플루엔자(H7N9) 상황보고(14. 1. 6) 검역지원과 2014-01-07
549 [아랍에미리트]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14. 1. 3) 검역지원과 2014-01-07
548 [중동지역]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13.12.31) 검역지원과 2014-01-07
547 [사우디아라비아]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13.12.27) 검역지원과 2013-12-30
546 [아랍에미리트]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13.12.22) 검역지원과 2013-12-27
545 [사우디아라비아]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13.12.17) 검역지원과 2013-12-20
544 [중국] 조류인플루엔자(H7N9) 상황보고(13.12.17) 검역지원과 2013-12-20
543 [사우디아라비아]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update(13.10. 4) 검역지원과 2013-10-07
542 [이탈리아]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update(13. 9.20) 검역지원과 2013-09-23
541 [사우디아라비아]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update(13. 9.19) 검역지원과 2013-09-23
540 [사우디아라비아]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update(13. 9. 7) 검역지원과 2013-09-10
539 [튀니지, 카타르]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update(13. 9. 6) 검역지원과 2013-09-10
538 [캄보디아] 조류인플루엔자 상황보고(13. 9. 5)-update 검역지원과 2013-09-06
537 [사우디아라비아]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13. 8.30) 검역지원과 2013-09-02
536 [카타르]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13. 8.29) 검역지원과 2013-08-30
535 [사우디아라비아] 중동호흡기증후군 상황보고(13. 8.28) 검역지원과 2013-08-29
534 [캄보디아] 조류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H5N1) 상황보고-update 검역지원과 2013-08-21
533 [캄보디아]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H5N1) 상황보고-update 검역지원과 2013-08-21
532 중동호흡기증후군(MERS-CoV) 상황보고(13. 8.19) 검역지원과 2013-08-20
531 폴리오 바이러스 상황보고(13. 8.15)-update 검역지원과 2013-08-19
530 인플루엔자 A(H7N9) 상황보고-update(13. 8.11) 검역지원과 2013-08-17
529 인플루엔자 A(H7N9) 상황보고-update(13. 7. 20) 검역지원과 2013-07-22
528 코로나바이러스 상황보고-update(13.7.21) 검역지원과 2013-07-22
527 코로나바이러스 상황보고-update(13.7.18) 검역지원과 2013-07-19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검역/ 수입위험분석/ 해외위생정보동향>

http://www.qia.go.kr/livestock/clean/listwebQiaCom.do?type=1_5hwwsdx&clear=1

 

3492 NEW (중국) H7N9 사상자수 증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필요 (Taipeitimes) 조기현 2014-01-20 2
3491 NEW (베트남) H7N9 경보 (Saigon-gpdaily) 조기현 2014-01-20 2
3490 NEW (중국) 中 신종 AI 계속 늘어…고병원성 AI도 발생 (연합뉴스) 조기현 2014-01-20 3
3489 NEW (터키) 럼프스킨병 발생 보고 (OIE) 안영창 2014-01-19 2
3488 NEW ◈ (불가리아) 양두 및 산양두 발생 보고 (OIE) 안영창 2014-01-19 1
3487 NEW (독일) 소해면상뇌증(BSE) 발생 보고 (OIE) 안영창 2014-01-19 7
3486 (이스라엘) 구제역 발생 의심 (Promedmail) 임선국 2014-01-17 7
3485 (중국) 저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발생 보고 (OIE) 임선국 2014-01-17 16
3484 (대만) 광견병 발생 보고 (OIE) 임선국 2014-01-17 4
3483 (베트남) 저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발생 보고 (OIE) 임선국 2014-01-17 4

 

 

보는 김에 좀더 살펴보면, 질병관리백서 중에서 몇 가지를 선별해보았다.

 

 

 

 

 

 

아... 어디있지? 어디 있는거니? 예전에 본 기억은 나는데 어디에서 봤더라... 해외질병, 해외가축질병 발생 상황처럼 세계지도 쫘~악 펼쳐놓고 각 대륙별 나라별 주요 질병 발생현황을 보여준 것 찾는데 결국 못 찾겠다. 나중으로 미루고 등록함. 김성호.

 

 

.....

 

 

고창 오리농가 AI 확인

 

동아일보 2014. 1. 18

 

고병원성 판명 2만마리 땅에 묻어, 부안서도 신고… 전국 확산 초비상

전북 고창군 오리 농가에서 고병원성으로 확인된 조류 인플루엔자(AI)가 발생했다. 정부는 AI 위기 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격상했다. 전북 부안군의 오리 농가에서도 이날 AI 의심 신고가 들어와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고창군의 한 농가에서 오리가 폐사하고 산란율이 급감하는 등 AI 증상이 나타났다는 신고를 접수해 정밀 검사한 결과 고병원성 AI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이 농가의 오리 2만1000마리를 도살처분 했다.

국내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것은 2011년 5월 경기 연천군에서 발생한 이후 2년 8개월 만이다. AI는 닭과 오리 등 조류에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고병원성 AI는 전염 속도가 빠르고 폐사율이 높은 제1종 가축 전염병으로 분류된다.

 

...

 

부안 AI, 고창과 같은 형…사람 발견 사례 없어

일시 이동중지 이행 당부…추가 의심신고는 없어

 

정책브리핑 2014. 1. 20

 

부안에서 발생한 조류 인플루엔자(AI)도 H5N8형으로 확인됐다. 고창과 같은 유형으로 전세계적으로 사람에게 발견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나라에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켜 사망에 이르게 한 H5N1형 및 H7N9형과는 다른 혈청형을 갖는 AI라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7일 의심 신고된 부안 소재 육용오리농장의 의심축은 정밀조사 결과 최초 발생된 고창의 농장과 같은 고병원성 AI(H5N8형)으로 확진됐다고 말했다.

이어 18일 의심 신고 건에 대해서는 아직 정밀조사 중이며, 이외에 추가적인 의심신고는 없다고 밝혔다.

발생농장 및 신고농장에 대한 후속조치는 원활히 진행돼 발생농장 및 반경 500m이내 농장 등에 대한 살처분(6개 농장 9만마리)은 완료됐고, 18일 신고농장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은 현재 진행 중에 있다.

 

또한 고창 발생농장 1개소, 고창 발생농장과 소유주가 동일한 인근 양계장 1개소, 부안 발생농장 1개소, 부안 발생농장의 반경 500m내 농장 3개소 등 해당지역에 대한 이동통제 및 방역조치는 철저히 시행되고 있다.

 

한편 환경부 조사결과에 따르면 발생농장 인근 저수지에서 발견된 야생조류 폐사체는 1000여마리가 아니라 실제 100여마리로 추정되며, 환경부에서 폐사체를 수거해 농림축산검역본부에 검사 의뢰함에 따라 현재 정밀검사가 진행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9일 0시를 기해 발동된 전남·북 및 광주광역시 지역 내 가금류 가축과 이와 관련된 종사자 및 출입차량에 대한 일시 이동중지 명령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 조치에 따라 해당 지자체는 축산농가 등에 SMS를 발송하고 이동통제초소 설치 확대 및 재래시장 영업중단 조치가 시행 중이며 이행점검반도 편성돼 상시 점검 중에 있다.

다만 환자, 사료공급 등을 위해 불가피한 경우 시도 가축위생방역기관장의 승인 하에 소독 등 적절한 조치 후 이동 가능하다.

 

농식품부는 장관과 차관이 전남북 지역을 방문해 일시 이동중지 명령에 따른 소독 및 방역활동 등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현장 점검 중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조치는 이동중지와 이를 어길 경우 단속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AI를 확산시킬 가능성이 있는 사람·차량 등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강력한 소독과 방역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이의 철저한 이행을 거듭 당부했다.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방역관리과 044-201-2377

 

 

 

...

 

 

광주시, 'AI 긴급방역'체제 돌입
'철저한 방역 AI 청정지역 지속' 양축농가.음식점 경영 안정자금 지원

 

아시아뉴스 2014. 1. 20

 

 19일 광주시,이형석 경제부시장이 5개 구청과 축산 관련 기관.단체 등 30여명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차단과 예방을 위한 긴급대책회의를 갖고, 상호 긴밀한 협조를 당부했다.(사진제공=광주시청)


 조류인플루엔자 지역 유입을 막기 위한 방지대책이 강화됐다.

 광주시(시장 강운태)는 전북 고창군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인됨에 따라 유입차단을 위한 대책회의를 갖는 등 차단 방역을 위한 긴급방역대책에 들어갔다.

 광주시는 19일 0시를 기점으로 가금축산농가 등에 48시간 일시이동중지(Standstill)명령 발령과 함께, 이형석 경제부시장과 5개 구청, 축산 관련기관단체 등 30여명이 참여한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거점 통제초소 5곳과 이동 통제반 5곳을 설치 운영하고, 상황 전파와 차단 방역 조치 등 유기적 협조를 통해 신속 대응키로 했다.

 광주수의사회를 비롯해 보건환경 연구원과 군.경, 광주축협,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토종닭협회도 전문 인력과 도압.도축장 소독, 통제초소 운영인력 지원, 양축농가소독, AI 예찰, 재래시장소독 업무등을 지원키로 했다.

 강운태 시장은 방역대책의 철저한 추진으로 AI 청정지역 유지를 당부하고, 이동중지명령 조치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닭.오리 양축농가에 대한 농업정책자금 지원과, 음식점 등 관련 산업의 어려움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AI 긴급행동지침에 따라 철저한 방역을 추진한다”며 “관내 가금류 축산농가는 방역과 소독을 철저히 하고 외부인 출입을 통제하고, 의심되는 증상이 발생할 경우 즉시 신고(1588-4060)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 “AI 바이러스는 70℃로 30분, 75℃로 5분간 열처리하면 바이러스가 모두 사멸되므로 끓여먹으면 절대적으로 안전하다며, 소비자들이 가금류 소비에 대한 불필요한 불안감을 갖지 말아줄 것”을 강조했다.

 한편, 광주지역에는 235농가에서 닭.오리 등 가금류 46만수를 사육하고 있으며, 호남지역 일시이동중지(Standstill)명령에 따라 모든 가금류농장과 축산 관련 종사자, 차량, 축산 관련 작업장 종사자의 차량과 물품 이동이 20일 24시까지 일시 중지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