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발전연구

세종시 충광농원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

by 큰바위얼굴. 2014. 6. 12.

세종시에서 충광농원(축산단지)의 역할을 재설계하고 있으며 포럼위원으로 참여중으로 다음의 내용을 전달함. 지자체의 포부와 의기를 느낄 수 있어 너무 좋음. 김성호.

 

 

....

 

세종시 충광농원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

 

. 미래청사진 설정 후 단계적 접근이 필요

기술지원의 임시 처방책 외에, 10년 후의 충광농원 미래지향적 청사진을 제시하기 위한 타당성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음. 1차산업과 2·3차산업이 어우러진 6차산업 축산단지 조성, 향후 10년 후를 내다본 동물복지 축산의 실현, 세종시의 지정학적 위치를 고려한 관광단지 조성 등을 감안

 

. 충광농원 개선 추진필요적 사유에 대한 재점검

육류 생산단지의 내재화를 통한 육류공급 원활 자급기반 마련을 고려하고, 축산분뇨 악취와 무단방출로 인한 환경오염과 주민불편 해소 측면과 시설낙후, 밀식사육 등으로 인한 낮은 품질경쟁력을 높이고, 통제가능한 범위 내 편성으로 구제역 등 질병발생 방지 및 초동대응 등 포괄적으로 추진필요성 정렬(사업타당성 연구보고서에 본 내용 산입; 근기마련)

 

. 충광농원의 미래지향적 발전방향에 대한 첨언

<기본방향>

충광농원의 시설정비 및 취급품목 다변화를 통한 품질경쟁력 증진

분뇨처리, 악취제거, 적정마리수 유지 등 자발적 개선의식 고취. 축산컨설팅 지원 확대(모니터링 포함)

전국 중심의 동물복지형 유통1단계 축산(단지) 모델로 육성

동물복지 정책에 맞춰 친환경 축산모델로 점진적으로 육성하고, 장직영 식육즉석판매가공업을 신설 육성하여 축산부문 6차산업화 성공모델화. 현재, 돼지부문 친환경 축산모델이 없어 육성에 성공시 지역거점 유인 가속화

 

<세부내용>

폐업을 유도할 것인지? 한센인 농원으로 공동체 의식이 강할텐데, 폐업 유도는 병행하되 신중한 접근이 요구됨

충광농원 발전방안의 핵심이 뭐지요? 투입가능한 재원 또는 범위가 어떻게 되나요? 어떠한 모습이 그려지길 바라나요? 제가 볼 때, 가장 시급하면서 세종시(지역 거점 감안)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은 이미 언급한 친환경축산모델(집산지 개념)이면서, 식육즉석판매가공업을 연결짓는 것임. 그러면서 지역주민 만족도 증가 및 인구 유인, 관광 유인 등에도 여파가 미치는 방향으로 설계 필요

초창기에는 환경감시단 등 활동을 하기 보다는 실태 파악이나 타당성조사를 수행하여 장기 발전모델을 설정한 후, 즉 어느 정도 가시화된 성과가 도출되었을 때(기반이 잡혔을 때) 감시단 운영을 검토하면 좋겠음

병행해서 검토할만한 정부정책은 친환경육성책(농림축산식품부, 실무는 농림축산검역본부), 6차산업화(농림축산식품부), 식육즉석판매가공업 및 유통1단계 육성책(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과)

* 재원 마련과 당위성 확보 측면에서 고려

 

<참고>

전국 중심에 위치한 동물복지형 유통1단계 축산(단지) 모델로 육성

할 수 있을까 염려는 되지만 정부를 비롯한 업계의 관심이 그 어느때보다 뜨거운 사항으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며, 하려는 세부실행계획이 잘 짜진다면 정부지원 또한 무난할 것으로 기대됨

정부의 축산 3대 관심은 유통단계 축소, 6차산업화, 식육가공품 육성임. 동물복지는 미래 중장기 발전에 필수적인 사항으로 현재 시점에서 논하기 보다는 10년 후의 모습을 예상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음

동물복지형 축산(단지)화 세부실행계획 수립(~’14)

- 현주소 파악, 추진가능성, 정책자금 확보, 사업타당성 검토 등

* 사업타당성 검증을 위해 정부·공공·학계·업계 등 다각도의 의견수렴(’14.하반기) 및 예비타당성 조사(~’15); 병행 검토

* 동물복지 추진동향 : 산란계(’12), 돼지(’13), (’14예정) 등 농장만 인증하고 있으나, 사육단계부터 유통·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해 동물복지 인증하기 위해 관계부에서 검토 중

* 가장 합리적인 동물복지 인증은 사육단계과 가공·판매를 묶어 일관처리하는 축산단지가 가장 유리(도축은 거점화 유도로 제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