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이슈/시장상황

계란의 경제학, "안 오르는게 뭐냐"

by 큰바위얼굴. 2017. 1. 12.

1.

계란의 경제학…AI가 좌지우지하는 이상한 계란시장


한국경제 2017.1.11



AI가 계란 수급·가격결정? 
공급과잉에도 정부는 뒷짐…AI 발생 땐 공급과잉 자동 해소
살처분으로 가격 일정수준 유지 

산란계 농가 '곡소리' 
농가, 밀집 사육으로 대형화…AI때마다 대량피해 악순환
계란 가격 급등으로 소비자만 피해

                                    

기사 이미지 보기



언제부턴가 한국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 유행은 연례행사가 됐다. 2014년부터 지금까지 발생한 크고 작은 AI만 다섯 차례, 기간은 700일이 넘는다. 매번 도살 처분도 이뤄진다. 많게는 수천만마리에 달한다.

계란시장이 수급 조절을 전염병에 맡기고 있다는 얘기까지 나올 정도다. 수차례 AI를 겪었지만 닭장 수만개를 다닥다닥 붙인 밀집식 사육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사육 면적 기준 확대 등 근본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AI가 ‘보이지 않는 손’ 

현재 계란시장은 심각한 공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특란 한 판(30개) 가격이 평년 대비 70% 뛰었다. 지난해 11월16일 시작된 AI 유행으로 전국 산란계(알 낳는 닭)의 3분의 1에 달하는 2300만마리가 살처분됐기 때문이다.

기사 이미지 보기

이번 AI 발생 직전까지 계란시장은 심각한 공급 과잉에 직면하고 있었다. 통계청 가축동향조사에 따르면 2013년 1분기 5874만마리였던 국내 산란계 사육 수는 2015년 4분기 7187만마리까지 급증했다. 양계협회 등이 추정한 적정 사육 수 6000만마리를 1000만마리 이상 초과한 수치다. 2015년 말부터 계란 공급 과잉이 본격화되면서 2014년 11월 1457원이었던 특란 10개 평균 산지가격은 지난해 3월 867원까지 떨어졌다. 이번 AI가 처음 발생했을 당시 업계에선 공급 과잉 해소를 기대했을 정도다. 

계란 공급 과잉은 2014~2015년에 걸쳐 산란계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된 것과 관련이 깊다. 이 기간 세 차례 발생한 AI가 일시적으로 계란 공급을 줄이는 역할을 했다. 2014년 1~7월 유행한 AI로 가금류 1396만마리가 살처분됐다. 그러나 살처분은 주로 오리 위주였고 산란계 살처분은 226만마리로 이번 AI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적었다. AI가 적절히 산란계 수를 줄여주면서 2014년 중반 계란 산지가격은 그 이전인 2013년 말 1300~1400원대를 약간 웃도는 1400~1500원대를 유지할 수 있었다.

2014년 AI가 산란계 농가의 수익에 도움이 된 것은 통계적으로도 드러난다. 통계청에 따르면 산란계 한 마리당 순수익은 2013년 314원 적자에서 2014년 4147원, 2015년 2363원 흑자로 전환했다. 2014~2015년 669일간 AI가 발생했지만 산란계의 수익성은 높아진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AI가 공급 과잉으로 인한 계란 가격 하락을 6개월에서 1년 정도 늦추는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산란계 사육 면적 넓혀야 

AI로 인한 일시적 호황은 오래가지 않았다. 2015년 중반부터 공급 과잉 추세가 뚜렷해졌다. 2014년 AI가 마무리되면서 농가들이 앞다퉈 사육 규모를 크게 늘려서다. 살처분 영향으로 산란계 사육 수는 2014년 1분기 6457만마리에서 2분기엔 6285만마리로 다소 감소했지만 3분기 6526만마리로 다시 늘었다.

산란계 사육 수 증가는 농가의 대형화와 맞물려 이뤄졌다. 2013년 1230가구에 달한 전국 산란계 농가는 2015년 4분기 1149가구로 줄었지만 5만마리 이상 대형 농가는 314가구에서 401가구로 오히려 늘었다. 농가 한 가구당 사육 수는 4만8000마리에서 6만2500마리로 확대됐다. 산란계의 밀집화가 그만큼 더 진척됐다는 얘기다.

   

산란계 농가의 대형화와 밀집 사육 증가는 결국 ‘사상 최대 규모 살처분’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강력한 AI에 수만~수십만마리를 키우는 대형 농가들이 맥없이 무너졌다. 농림축산식품부도 “AI는 지금까지 국내 소비자들이 계란을 싸게 먹은 대가일 수 있다”며 개선책을 고민하고 있다.

일부에선 밀집형 사육의 문제와 수급조절을 동시에 해결할 방안으로 사육 면적 기준 확대를 제시한다. 산란계 한 마리당 최소 사육 면적은 축산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다. 현재는 A4 용지 한 장(0.06㎡) 면적에도 미치지 못하는 0.05㎡다.





2.

'부자도 지갑닫아' 소비절벽에 백화점·면세점주 급락


연합뉴스 2017.1.11



소득 대비 소비지출 역대 최저…AI사태로 생활물가 급등 엎친데 덮친격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최근 소득이 낮은 가난한 사람뿐만 아니라 부자들까지 지갑을 닫고 있다.

소득 대비 소비지출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구분 없이 모두 역대 최저 수준이라는 사실이 이를 여실히 증명한다.

조선·해운산업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대란에 이어 올겨울에 사상 최악의 조류 인플루엔자(AI) 사태로 계란 가격까지 급등하는 등 생활물가까지 치솟아 가계의 주름살이 하루가 다르게 깊어지고 있다.


부자들이 주로 이용한다는 백화점과 면세점도 매출이 줄어드는 등 소비절벽 앞에서 속수무책인 모습이다.

11일 통계청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 기준으로 2015년 평균소득(437만3천116원) 대비 식료품 등 소비지출(256만3천92원) 비율은 58.6%에 그쳤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있는 2003년 이후 역대 최저치다.

번 돈 중에서 식료품과 집세, 공과금, 교통비, 통신비, 여행, 의료비 등 각종 명목으로 지출한 돈이 가장 적었다. 이는 그만큼 허리띠를 졸라맸다는 이야기다,


설 연휴를 3주 가량 앞둔 6일 서울 중구 롯데백화점 본점 매장에 마련된 설 선물세트 코너(자료사진)

 

평균소득 대비 소비지출 비율은 2003년 64.6%에서 등락을 거듭하다가 2010년 63.0%이후 하락 흐름을 이어왔다. 2013년 59.6%로 60% 선 아래로 처음으로 내려갔다. 이어 2014년 59.3%, 2015년 58.6%까지 내려갔다. 지난해에도 하락세를 지속해 1분기 58.6%, 2분기 57.9%, 3분기 58.0%로까지 밀렸다.


지갑을 닫는 모습은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구분이 없을 정도로 전방위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소득 하위 10%인 1분위 계층의 소득 대비 소비지출 비율은 2015년 96.3%로 처음 100%를 밑돌았다.

보통 저소득층은 소득보다 생필품 등 기본적인 소비지출이 많아 이 수치가 100%가 넘지만 처음 소득과 소비지출 간에 역전 현상이 벌어졌다. 소득은 늘지 않는 상황에서 허리띠를 더 졸라매야만 하는 저소득층의 살림은 더 팍팍해질 수밖에 없다.

소득 상위 10%인 10분위 계층도 경기 불확실성에 소비를 줄였다.


지난 2005년 50.3%로 50%를 웃돌았지만 2010년 48.2%로 내려왔고 이어 하락세를 지속해 2015년 45.1%까지 떨어졌다.

전 계층에 걸친 이 같은 소비부진은 경기가 회복할 것이라는 기대가 크지 않고 소득 정체와 가계부채에 따른 원리금 상환 부담, 부동산 가격 하락 및 거주비 증가 문제 등으로 경제적 심리적 여유가 점점 줄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그래픽> 소득 수준별 소비지출 비율 추이

<그래픽> 소득 수준별 소비지출 비율 추이(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 11일 통계청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 기준
으로 2015년 평균소득(437만3천116원) 대비 식료품 등 소비지출(256만3천92원) 비율은 58.6%에 그쳤다. kmtoil@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그만큼 최근 소비 부진은 경제 회복의 발목을 잡는 복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런 소비절벽 우려는 신세계[004170], 현대백화점[069960], 호텔신라[008770] 등 백화점과 면세점에 직격탄으로 작용했다. 신세계와 현대백화점, 호텔신라는 전날 나란히 장중에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호텔신라는 9일 장중에는 4만6천50원을 찍으며 52주 신저가를 갈아치웠다.

신세계도 장중에는 16만7천원까지 내려가 역시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현대백화점은 장중에 52주 신저가인 9만7천800원까지 떨어졌다.

박종렬 HMC투자증권[001500] 수석연구위원은 "올해 들어 본격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생활물가 등도 소비심리와 소비지출에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현대백화점의 목표주가를 17만6천원에서 12만6천원으로 내리기도 했다.



3.

치솟는 식탁 물가 ‘서민 고통은 2배’


파이넨셜뉴스 2017.1.11



식료품비 비율 ‘엥겔계수’ 
소득 하위 20%는 21.4%
소득 상위 20%는 11.1% 
육류.채소 등 물가 폭등에 저소득층 부담 더 높아져


지난해부터 계란, 배추 등 서민생활과 직결된 '장바구니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총 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 비중을 의미하는 엥겔계수가 재차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가뜩이나 없는 살림에 허리띠를 졸라맨 저소득층의 부담이 한층 심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생활에 필수적인 식료품 특성상 가격이 뛰어도 지출을 크게 줄일 수 없는 탓이다. 

엥겔계수 상승은 양극화 확대 등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저소득층 지원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저소득층 엥겔계수, 4분기만에 최고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4분기 기준 소득 5분위별로 우리나라 소득 하위 20%(소득 1분위) 계층의 전체 소비지출은 127만7600원으로 조사됐다. 올해 1.4분기 대비 3.9% 감소한 수치다. 반면 식료품.비주류음료 부문에 지출한 금액은 27만3800원으로 같은 기간 10.2% 상승했다.

경기 악화로 의류, 문화 등 씀씀이는 최대한 줄이면서 필수품인 먹거리 지출은 더욱 증가한 셈이다. 이에 3.4분기 1분위 계층의 엥겔계수는 21.4%로 집계됐다. 지난 2015년 3.4분기(21.9%) 이후 4분기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엥겔계수는 지난 2015년 3.4분기 8분기 만에 최고치를 찍은 후 같은해 4.4분기 20.5%, 이듬해인 2016년 1.4분기 18.6%로 2분기 연속 떨어졌다. 그리나 지난해 2.4분기(19.2%)와 3.4분기까지 두 분기 연속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엥겔계수는 소득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인다. 먹고 마시는 데 지출하는 돈의 비중이 커질수록 다른 분야의 소비 여력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실제 같은 기간 소득 5분위의 엥겔계수는 1분위의 절반 수준인 11.1%에 그쳤다. 

■물가 고공행진에 서민층 시름 

지난해부터 엥겔계수가 다시 오름세를 보이는 것은 대부분의 식료품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 채소, 어패류 등 50개 품목으로 구성돼 '밥상물가'로 쓰이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12월 전년 동월 대비 12.0%나 올랐다. 여름철 기록적 폭염으로 농산물 출하량이 감소함에 따라 채소가 21.1%로 가장 많이 상승했고, 과일(7.3%), 생선 및 조개류(5.1%)도 모두 올랐다. 

특히 설을 앞두고 제수용품의 가격이 치솟는 '물가대란'이 닥치면서 저소득층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조류 인플루엔자(AI) 사태 '직격탄'을 맞은 계란 가격은 9일 기준 한 판당 9142원에 거래돼 전년 대비 60% 이상 올랐다. 무.배추.당근 등 가격도 평년 대비 100% 이상 급등했다.

그에 반해 저소득층의 가계소득은 지난해 1.4분기를 기점으로 매분기 '뒷걸음질' 치고 있다.

고물가로 꼭 지출해야 하는 식료품 가격은 오르는데 정작 소득은 줄어들고 있어 이전보다 팍팍한 살림살이를 꾸릴 수밖에 없다.
 
실제 지난해 3.4분기 소득 10분위 중 최하위 1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71만7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0% 줄어들었다.
 
연세대 김정식 교수는 "전체 물가는 안정돼 있다지만 주거비, 식료품비 지출은 외려 늘어나는 등 고물가의 영향이 반영됐다"며 "특히 경기침체기에 접어들면서 서민층의 소득이 많이 줄어들고 있어 서민생활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