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이슈/시장상황1529

품질공정제의 시대적 요구 우리만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 아니다. 주로 가는 식당과 식육판매장에서 취급된 고기와 음식을 믿을 수 있느냐는 것!!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는 야심차게 생산부터 도축, 가공, 유통,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상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시스템(품질공정평가제)을 구축 중이다. 언제쯤 소비자.. 2012. 8. 27.
미, 주저앉은 소 학교급식에 납품 의혹 미국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시스템은 월등함에도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그곳까지 미치지 못하는 한계 때문일까? 선진국 조차 사회적 문제로 불거지니 우리는 어떠할까? 함, 진단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법은 제정되었으나 그 자체로 끝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다. .. 2012. 8. 27.
똑같은 플랑크톤인데 녹조, 적조가 다른 이유 2012. 8. 27.
미, 음식물 40% 버려 음식물의 재활용에 대해 관심갖자. 그리고, 주로 먹는 부위(선호부위) 때문에 차별받는 저지방부위의 소비에 관심갖자. 먹고 남은 것들과 남겨진 것들은 '재고'라는 이름으로 우리를 압박한다. 요것이 해결되지 않으면 잘 먹고도 거북한 속 처럼 계속 찜찜한 상태로 있을 때의 상황과 같.. 2012. 8. 27.
FTA 삼겹살 피해 첫 인정 무엇인가 하다보면 반드시 누군가는 이익을 보고 누군가는 피해를 본다. 피해자 측면에서 볼 때 너무나 다행스런 결과다. 이처럼, 지금처럼 열린 사회에서는 가만히 있기 보다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2012. 8. 27.
중국하면 떠올리는 말?? 2012. 8. 20.
바다가 열 받았다 한 번쯤 읽어보길 바라며, 바다는 뜨겁고 폭염, 폭우, 폭설... 이상기후.. 이젠 익숙한 용어들이 됐다. 미래가 불안하다. 2012. 8. 20.
호미 대신 IT 장비란 기사를 보고 농작물은 땅에서만 수확해야 한다?? 그것만이 바람직한 일이다?? 오염과 환경 문제로 날로 심각해지는 이때, IT라는 다소 기계적인 속성의 용어에 농작물을 입혔다. 시설투자 대비 타당성이 높아 실용화 방향이 좋은지는 더 두고봐야 할 일이지만, 이런 시도는 필요하다고 본다. 다양한 세.. 2012. 8. 14.
애그플레이션 벌써 식탁 덮쳤다 살기가 점점 더 어려워진다. 산업은 발전하는데 살기는 더 어렵다?? 2012. 8. 14.
공익재단, 부자의 상상력을 기부하라 공익재단의 사회적 역할모델로 보인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또한 공공기관으로서 상상력과 행동력을 기부하는 일에 발벗고 나섰으면 좋겠다. 아직은 접근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수준이지만 점차 사회적 역할을 키워나갈 것으로 기대해도 좋겠다. 2012. 8. 2.
보리의 비애 2012. 8. 2.
뉴 노멀 뉴 노멀이란 이상기후가 일상화된다는 신조어. 어쩌냐, 먹고는 살아야 하는데 소돼지 먹일 것이 부족한 판이니. 2012. 8. 2.
남미지역 가격강세에 대응해야 선진시스템으로 무장한 남미지역 대형패커의 러쉬에 대비해야 한다. 아래는 주요 수출국 내역. 구분 주요 수출국(지역) 주요 수입국(지역) 쇠고기 남미(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 북미(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인도, EU 미국, 아시아(일본, 한국, 베트남, 홍콩 등) 돼지고기 E.. 2012. 8. 2.
매뉴, 가격 등 음식값 문 앞에서 확인 가능 세상은 변하고 있다. 소비자가 잘 알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그런 방향에서 축산물 판매장 가격도 판매장 밖에서 알 수 있도록 표시하면 어떨까? 소비자가 지나가면서 쉽게 알 수 있도록. 또한, 소 잡은 날, 들어온 날 등 소비자가 관심 갖을 내용도 친절하게 알려준다면 그것이 바로 경.. 2012. 8. 1.
미래를 여는 농협의 발자취 정말 잘 되었으면 좋겠다. 2012. 8. 1.
공공기관 시장 지향형으로 변신 중소 협력업체와 공생 발전, 자원봉사활동, 사회공헌활동 등에 대한 관심을 갖고 나설 때다. 2012. 8. 1.
두물머리에서는 지금 2012. 8. 1.
폭염에 전통시장도 울고 가뜩이나 찾아가기 어려운 발길을 막는다.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의 공존 공생의 해법은 무엇일까? 아무튼, 더이상 남의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2012. 8. 1.
내년 세계 농산물 가격 오를 듯 걱정이다. 미국이 흔들리면 전 세계가 휘청일텐데, 이에 대한 대비를 어떻게 해야 할까? 2012. 8. 1.
축산농가는 지금... 뜨거운 날씨와 전쟁 중... 2012.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