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축산컨설팅협회 회원으로서 의견을 내봄. 창립1주년을 맞아 회원들 바람을 담고 싶다는데.. 김성호.
집안을 단속하고
1. 합리적인 가격결정 유도(특히, 돈육)
2. 유통실태 기반의 정책 수립
3. 식육, 동물성 지방 등 부정적 인식 타파
4. 약 50%에 육박한 공판장 牛출하 경계
5. 부산물 유통 등 사각지대 양성화 육성
6. 못하는 자는 퇴출되고, 잘하는 자는 융성하며, 게으른 자는 망하게 하는 생태계 조성
집밖으로 영토를 넓히는 일
A. 한우고기 수출(국내분 → 국외 사육분)
B. 사육지(섬 등) 국외 조성, 식량영토 확보
C. 내준 만큼 요구하는 동반성장 실현
D. 수입축산물과 공조하는 수급정책
국정이 원활토록 전문성을 높혀 서포트하는 일,
축산컨설턴트의 활략을 기대한다.
'축산발전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정책이 성공하려면.. 기본을 배우다. (0) | 2014.04.04 |
---|---|
K-Food의 세계화, 가공식품 원료비중 낮추고 한국판 미슐랭 가이드 만들면 될까? (0) | 2014.03.28 |
축산업 발전을 위해 공공기관이 해야 할 역할 (0) | 2014.03.26 |
식육의 부위별 등급별 및 종류별 구분방법 일부개정고시(안) 행정예고(~4.7) (0) | 2014.03.24 |
[자문] 경쟁적 한돈시장, 10년 후에 어떤 역할을 하면 좋을까? (0) | 2014.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