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원산지 표시만 하면 가공식품의 원료비중이 60%로 줄어들까? 혹시, 보지 못한 내용이 있는 것일까?
당장 국내산 대체에 따른 비용상승분과 기대효과, 또는 비용이 보다 저렴한 수입산의 원료비중을 낮춘 기대효과와 투입될 비용, 모두 국민이 낸 세금인데. 그저 상생과 동반은 '국내산 대체'에만 있는 듯 보인다. 가공품 원료는 값싼 수입산을 사용하고(효율성, 자유무역, 시장경제 원리) 국내산은 다른 어떤 것으로 육성해야 하지 않을까? 물론, 수입산 만큼이나 비용이 저렴하다거나 국내산이 남아서 문제라면 국내산으로 대체한 들 무슨 문제가 있겠냐마는 이 또한 유통인이 알아서 할 일이다. 다만, 국가는...!
관련글> 우리나라 축산의 나아갈 길과 컨설팅 발전방향에 대하여(http://blog.daum.net/meatmarketing/1551)
상생의 도리, 동반성장에 거는 기대, 그리고 인식의 전환... 수입산과 대치할 것인가? 경쟁 속에 상생의 도리를 채택할 것인가? 자라나는 아이들 조차 수입산 하면 어떤 생각을 할까? 과연 지금이 바로 국제화 인가? 배척인가? 들어온 손님에게 예의를 다하지 못하면 그 뿐이거늘. 상생과 동반성장은 자국에만 통용될까? 글쎄.
역할을 나눠 접근하자. (올곧은) 국내산 육성정책 보다는 (자유로운) 세계 무역시장 속에서 국내산 수출정책처럼, K-Food의 세계화처럼. 인식의 차이(불신)는 향후 커다란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글의 문체와 표현의 차이가 결국 자라날 아이들의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주게 될테고 (부지런한) 부모는 해석을 해주어야 할테다.
미슐랭 가이드, K-Food의 세계화 시작인가? 시도에 머물 것인가?
관건은 해외 K-Food의 음식점 마다 레벨을 정해주는 일, 속지 않도록 하는 일, 단골이 되도록 하는 일, 외국인이 찾기 쉽도록 알려주는 일. 이는 일본의 화식 세계화와 관련된다. 그들의 포부와 꿈을 들어보고 우리에게 맞는 K-Food의 세계화로 방향을 설정했으면 좋겠다. 한국판이라는 국내 음식점 가이드에 머물러서야 되겠는가 싶다. 의미는 있겠지만.
K-Food의 세계화를 위한 가이드 제작, 명소와 연결된 맛집 소개, '한국음식 맛' 세계여행 관광육성, 이제는 보는 것에 머물지 않고 먹는 것에 초점을 두기도 한다. 세계에 나가보면 한 번 두 번 외국음식을 맛본 후 한국식당을 찾기 일쑤다. 그들과의 국제적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한상(음식점 + 마케터 + 무역업체 + 자국 생산업체)의 저변을 갖추는 일이 바로 국가가 관심갖을 만 하다고 본다. 푸쉬에 따른 K-Food의 기반을 다지는 것은 유통인에게 맡겨도 충분하다고 본다. 또한, 그들의 몫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김성호.
.....
가공식품 수입원료 비중 60%로 낮추기로
국민일보 2014.3.28
가공식품의 수입산 원료 비중을 10년 이내에 10% 포인트 낮추는 ‘10-10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민간기반의 음식점 평가 시스템인 한국판 ‘미슐랭 가이드’도 도입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7일 식품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신(新) 식품정책’을 마련했다.
농식품부는 국산 농산물 수요확대와 소비자 건강 제고를 위해 현재 70.3%(2012년말 기준)인 가공식품의 수입산 원료 비중을 2022년까지 60%로 낮추기로 했다. 2012년 한 해에 가공용으로 수입한 농산물은 1057만t에 달했는데 이 중 10%를 국산으로 대체하면 약 100만t의 국산 농산물 신규 수요가 창출된다. 농식품부는 국산 원료를 95% 이상 사용한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2015년까지 원산지인증제를 도입해 식품제조업에서 국산 원료의 비율을 높일 계획이다.
외식산업 선진화를 위해 올해 말까지 외식 서비스인증제를 도입하고, 프랑스의 미슐랭 가이드 같은 민간 기반의 음식점평가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미슐랭가이드는 타이어 회사 미쉐린이 출판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레스토랑 평가 잡지다.
농식품부는 농식품 인증·표시제의 소비자 신뢰를 강화하기 위해 포장 유통되는 모든 농산물에 품목, 원산지, 생산자 정보 등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기본정보표시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현재 11종인 농식품 인증제는 2015년부터 6종으로 단순화해 소비자가 쉽게 농식품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농촌지역의 영양문제가 심각한 점을 고려해 농어촌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식생활 도우미 제도를 도입하고 과잉 생산한 농산물을 영양 취약계층에 공급하는 농식품지원제도를 시범 도입키로 했다.
'축산발전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절기 돼지 관심사 분석방향 (0) | 2014.04.10 |
---|---|
산업정책이 성공하려면.. 기본을 배우다. (0) | 2014.04.04 |
우리나라 축산의 나아갈 길과 컨설팅 발전방향에 대하여 (0) | 2014.03.27 |
축산업 발전을 위해 공공기관이 해야 할 역할 (0) | 2014.03.26 |
식육의 부위별 등급별 및 종류별 구분방법 일부개정고시(안) 행정예고(~4.7) (0) | 2014.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