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이슈/시장상황

이대로 암소 줄이기만 하면 3~4년 후 송아지 대란 온다

by 큰바위얼굴. 2013. 3. 6.

이대로 암소 줄이기만 하면 3~4년 후 송아지 대란 온다
농식품부가 암소도태사업을 통해 가임암소 수를 줄이는 한편, 송아지생산안정제가 발동되지 않도록 제도를 개선한 상황에서 총리실 산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가 송아지안정제사업을 복원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놔 주목된다.
지인배 농경연 부연구위원 최근 ‘KREI 논단’을 통해 ‘공급과잉을 막을 시기는 이미 지났다’면서 ‘이제는 앞으로 닥칠 한육우의 급격한 사육두수 감소에 대비하고 우리나라 한우쇠고기 시장을 지킬 준비를 할 때’라며 송아지생산안정제사업을 복원하는 등 한우번식농가를 보호할 수 있는 선제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기라고 주장했다.
지 부연구위원은 1998년 처음으로 송아지생산안정제사업이 시작된 전후의 상황을 예로 들어 ‘1998년 송아지가격이 1995년 168만원의 1/3 수준인 66만원으로 폭락하면서 번식농가의 탈퇴로 이어져 결국 5년 후인 2001년 한육우 사육두수는 145만두로 1996년의 50% 이하로 떨어졌다’면서 ‘이 자리를 미국산을 비롯한 수입고기가 채웠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2000년 처음으로 정부는 송아지생산안정제사업을 발동했다.
하지만 14년이 지난 2012년도 1998년과 아주 흡사한 상황이 연출됐는데 정부의 정책은 반대방향으로 가고 있다면서 이는 번식농가의 보호에 한계를 가지게 되며, 많은 번식농가들이 한우사육을 포기하게 되는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현장 한우농가들의 목소리도 마찬가지. 김충완 전국한우협회 충남도지회장은 “지난해 1만7000여 농가가 폐업을 했다고 하는데 50두 미만 농가로 대부분 한우산업의 기반인 번식을 담당하는 농가들로 봐야 한다”면서 “이들이 도산한다는 것은 송아지생산기반이 무너진다는 것이고, 이는 곧 한우산업이 무너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농촌현장에 가보면 논에 대규모로 지어진 우사가 많은데 지금은 거의 텅 비어 있다”면서 “이들은 비육우를 키우기 위해 우사를 지은 농가들인데 지금대로 간다면 송아지가격은 2~3년 내 폭등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사육두수 감소가 국내쇠고기 수요는 줄이고 수입쇠고기 소비를 늘리는 역할을 할 경우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이에 대해 한우협회 관계자는 “암소도태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지금 시점이 송아지 생산 안정을 바탕으로 한 한우산업 기반 육성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시기”라고 말했다.

자료출처:한국농어민신문

... 작성일 2013-03-06 10:14:3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