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발전연구835

남미지역 대형패커의 발전과정으로 본 우리 축산업이 나아갈 길 - 2/4 남미지역 대형패커.vol2.egg 2012. 11. 21.
남미지역 대형패커의 발전과정으로 본 우리 축산업이 나아갈 길 - 1/4 남미지역 대형패커의 발전과정으로 본 우리 축산업이 나아갈 길에 대해 고민하다. 남미지역 대형패커.vol1.egg 2012. 11. 21.
더이상 산지가격을 갖고 논하지 말자 우선, 아래 기사를 보기 전에 다음 질문에 답해보시라. 1. 한우 큰암소, 큰숫소의 거래물량이 얼마나 되는지 아는가? (총 도축두수 대비) 2. 우시장에서 주로 거래되는 큰소는 어떤 소인지 아는가? 3. 산지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아는가? 가격의 하락이 틀렸다거나 축산농가의 시름이 깊.. 2012. 11. 6.
2012.08/ 미트저널/ 가공분야 돈육품질 향상 방향 가공분야 돈육품질 향상 방향으로 미트저널 2012.8월호 기고문 입니다. 본 내용을 작성하면서 돈육품질 향상을 위한 각계각층의 노력과 관심이 뜨거움을 알 수 있었으며, 돈육품질 향상을 위해 정말 일선 관계자가 해야할 일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돈육품질은 나 혼자만 잘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생산부터 도축, 가공,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의 종사자 개개인이 사명감으로 뭉칠 때 가능함을 알 수 있습니다. 우선, 개선가능한 부분부터 하나씩 바꿔나간다면 좋지 않을까 판단합니다. 감사합니다. * 출처 : 한돈협회 홈페이지. 가공분야 돈육유통 품질향상 방향 제언(미트저널 2012.8).pdf 2012. 7. 18.
축산업 유통현안과 미래 대응 축산업의 모든 문제를 한 방에 해결할 대안이 있다면 어떠할까? 거기에 더해, 실현가능성까지 겸비하고 있다면 어떠할까? 업계 전문가들이 한결같이 말하는 부분을 정리해 보았다. 축산업 유통현안.pdf 2012. 6. 1.
축산물즉석가공판매업 신설이 가진 의미 잘 해보자. 연이어 올리는 '축산업 유통현안 진단 및 미래 대응' 자료를 함께 보길 권함. 고기를 먹을 것인가? 상추를 먹을 것인가? 회사 근처식당에서는 버섯칼국수를 얼큰하게 내놓는다. 하지만, 난 미나리를 먹으러 간다. 부재료 나오는 미나리가 혈행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의사권고에 따라 가능한 먹으려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휴대폰에는 미나리 식당이라고 입력했다. 이처럼, 주와 부의 개념이 가격역전 등에 따른 식문화 생태 변화에 따라 바뀌고 있다. 언제까지 고기를 구워 먹기만 할 것인가? 저지방부위는 우리 입맛에 맞게 햄, 소시지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하여 먹자. 난 햄, 소시지를 좋아하는데 안심할 수 없기 때문에 꺼려한다. 그런데 다행스럽게도 원료에 신경쓴 햄,소시지가 나오는가 하면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2012. 6. 1.
마장동 축산물시장 유통실태 현황 및 활성화 방향 농식품부에 제공한 자료로 우리나라의 전통 축산물시장 중 '마장동'을 정리한 기고문입니다. 마장동_축산물시장_유통실태_현황.pdf 2012. 5. 1.
마장동 축산물시장 유통실태 현황보고서 우리나라 축산물시장의 유통실태에 대해 조사하고 있습니다. 농식품부 요청사항으로 우선 세계적인 유례를 찾기 어려운 가장 대표적인 축산물시장인 '마장동 축산물시장'에 관한 자료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마장동 축산물시장 유통실태 현황보고서.pdf 2012. 4. 18.
축산물 유통정보 제공 시 시급히 개선할 사항 축산물 유통정보 제공 시 시급히 개선할 사.hwp 2012. 3. 30.
2012.04/ 미트저널/ 일본 돈육시장의 54% 자급률, 남의 얘기가 아니다 미트저널 2012.4월호 기고문. 일본 돈육시장의 54% 자급률, 남의 얘기가 아.pdf 2012. 3. 14.
2012.04/ 세계식품과 농수산/ 주요국 육가공품 품질등급제와 비교해 본 우리나라 도입방안 FAO한국협회 2012년 4월호 기고문입니다. 육가공품 품질등급제에 논의가 2002년부터 시작된 이래 여전히 논쟁만 하기에는 너무 아깝지 않나 생각하여 정리해 본 자료입니다. 공감대를 넓혀 이젠 소모전은 그만하고 도입이 필요함에 대해 인정한다면 추진하기 위한 세부 실천방안을 마련해.. 2012. 3. 7.
축산물 유통구조 합리화대책에 따른 축산물품질평가원 과업 추진 축산물 유통구조 합리화대책에 따른 우리기.hwp 보도자료(농식품부).hwp 2012. 3. 5.
음식점 축산물등급표시제 도입필요성 2012.3월호 미트매거진 기고문. 음식점 축산물등급표시제 도입필요성(FAO한.pdf 2012. 2. 16.
우리나라 대형 축산기업 경영현황(2011.9) 우리나라 대형 축산기업 경영현황(2011.9).pdf 2012. 2. 2.
2012.04/ 등급정보지/ FAOSTAT를 통해 본 국제 육류 생산자 판매가격 동향 FAOSTAT를 통해 본 국제 육류 생산자 판매가격 .pdf 2012. 1. 6.
산지 소값 하락에도 불구하고 쇠고기 소비자 가격이 유지되는 현상에 대해 함께 검토할 만한 사항 왜? 문제라고만 하는가? 언론은 제대로 알리고 있는가? 이슈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너무 소모적이다. 물론, 대다수 국민에게 안정적인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쇠고기 가격이 싸면 쌀수록 좋고 농민은 농민대로 잘 사는 나라가 되어야 함에도 이번에는 너무 자중지란에 .. 2012. 1. 6.
2012.01/ 세계 식품과 농수산/ 주요국과 비교해 본 우리나라 축산물등급제 개선방안 세계 식품과 농수산 2012.1월호 기고자료 임. 주요국과 비교해 본 우리나라 축산물등급제 .pdf 2011. 12. 14.
축산물종합컨설팅지원사업(안)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축산경영체간 적정한 품질관리가 필요하며, 그 지원을 위한 정부지원사업의 필요성을 언급. 축산물종합컨설팅지원사업(안).hwp 2011. 11. 24.
축산물 품질평가 확대방안 수입육과의 경쟁 우위, 국내산 축산물의 품질경쟁력 제고 등을 위해서는 유통 중인 식육의 품질 강화가 필요한 상황으로 현행 축산물등급제의 개선방안을 담고 있습니다. 축산물 품질평가 확대방안.hwp 2011. 11. 8.
부분육 유통 활성화방안, 돼지 가격결정체계의 합리화방안 논의자료 유통 TF 회의에서 건의한 자료 입니다. 참고하세요. 축산물 유통구조 합리화방안 과제별 세부추.hwp 2011.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