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발전연구838

축산물종합컨설팅지원사업(안)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축산경영체간 적정한 품질관리가 필요하며, 그 지원을 위한 정부지원사업의 필요성을 언급. 축산물종합컨설팅지원사업(안).hwp 2011. 11. 24.
축산물 품질평가 확대방안 수입육과의 경쟁 우위, 국내산 축산물의 품질경쟁력 제고 등을 위해서는 유통 중인 식육의 품질 강화가 필요한 상황으로 현행 축산물등급제의 개선방안을 담고 있습니다. 축산물 품질평가 확대방안.hwp 2011. 11. 8.
부분육 유통 활성화방안, 돼지 가격결정체계의 합리화방안 논의자료 유통 TF 회의에서 건의한 자료 입니다. 참고하세요. 축산물 유통구조 합리화방안 과제별 세부추.hwp 2011. 11. 8.
세계 대형패커 발전과정으로 본 우리나라 대형 축산기업 도입방안(FAO한국협회 11월호) 세계 대형패커 발전과정으로 본 우리나라 대.pdf 2011. 11. 8.
2012.12/ 월간양돈/ 축산물 유통정보의 현주소와 개선방안 축산물_유통정보의_현주소와_개선방안(양돈.hwp 2011. 11. 8.
세계 대형패커의 발전과정으로 본 우리나라 대형 축산기업 도입방안 세계 대형패커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대형 축산기업 도입방안을 살핌. 대형패커의 개념 정립, 주요국 대형패커 현황, 육류도매업 개방 후 다국적기업의 참여현황 등 포함. 우리나라 대형 축산기업 도입방안.hwp 2011. 9. 15.
축산물 유통정보시스템 선진화 방안 우리나라 축산물 유통정보 실태 및 문제점을 진단한 후 개선방안을 살펴봄. 세계 식품과 농수산(2011.9/10월호 통합본)과 미트매거진(10월호)에 실릴 예정임. 축산물 유통정보시스템 선진화 방안(FAO한국.pdf 2011. 9. 15.
식육의 구분판매제 조사공무원 신설 식육판매장에서는 식육을 부위별, 등급별 및 종류별 구분을 하여 판매하고 있다. 판매과정에서 축산물등급판정확인서 위변조, 등급표시 위반 등 등급과 관련 문제가 심심찮게 터지고 있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단속 외에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한 자료이다. < 정책방.. 2011. 8. 31.
햄,소지지 등 육가공품 제조 시 1등급 이상 원료육 사용할 경우 등급표시 인정범위 햄,소시지 등 육가공품 제조 시 1등급 이상 원료육 사용할 경우 등급표시 인정범위에 대한 법무자문결과 입니다. 2011-05-04 법무해석 결과(최종).pdf 2011. 8. 30.
돼지고기 냉도체 등급판정 정착 유도방안(2010.9) 돼지고기의 품질과 안전관리의 핵심사항인 중간유통과정에서 냉장유통을 유도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축장에서 냉도체 등급판정 정착을 유도코자 검토한 자료 입니다. 2010년 검토 이후 2015년으로 미뤄진 사항으로 도축장 구조조정 및 대형패커 육성 등으로 인한 도축장 신설 시 해당 도축.. 2011. 8. 26.
주요국의 돼지고기 등급표시 현황 및 개선방안(2010.8) 주요국의 돼지고기 등급표시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돼지고기 등급을 표시토록 하기 위한 비용편익분석과 등급표시 자율 유도방안을 담고 있습니다. 축산물등급판정확인서를 식육판매장에서 돼지고기 판매시 게시토록 하고, 출하 원료돈의 등급제 가격정산으로 전환 및 소매단계 등급표시 .. 2011. 8. 26.
돼지고기『도축부터 밥상까지』품질·안전관리 제고 방안(2010.1) 2010.1월 당시 돼지고기 도축단계부터 밥상까지 품질 및 안전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정책관점에서 종합정리한 자료 입니다. 20100121 돼지고기 『도축부터 밥상까지』 품.hwp 2011. 8. 26.
축산물등급판정제도 발전방안 연구보고서(2009.1) 축산물등급판정제도의 발전과정과 향후 개선방향에 대해 잘 연구된 자료로 판단됩니다. 농식품부 자료. 20090203 축산물등급판정제도 발전방안 연구보.pdf 20090203 부록6. 주요국의 축산물등급판정제도.hwp 2011. 8. 26.
수입육 등급판정 검토(2008.9) 수입육 등급판정을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검토한 자료입니다. 20080923 수입육 등급판정 추진현황.hwp 2011. 8. 26.
음식점 축산물등급표시제 도입검토 현재, 식육판매장에서는 축산물의 등급표시를 하게 하고 있는데 비해 음식점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이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것에 대한 고민결과 입니다. 20110719 음식점 축산물등급표시제 대응방안.hwp 2011. 8. 26.
출하돼지의 가격정산방법 개선 및 유도방안(2010.4월) 출하돼지의 가격정산방법 개선 및 유도방안.pdf 2011. 8. 22.
2011.09/ 등급정보지/ 소·돼지고기 부분육 포장 유통실태 및 개선방안 우리는 고기를 먹을 때 고기의 품질이 우수하여 맛이 있기를 기대하며, 고기를 먹는 시점까지 고기의 취급(발골·정형·운송·보관 등)이 위생·안전적인 품질관리가 되었기를 바란다. 이를 당연한 사실로 여기면서도 그렇게 되고 있는지 소비자가 알기는 사실 쉽지가 않다. ‘우리가 .. 2011. 8. 22.
2011.07/ 등급정보지/ 축산물 유통정보의 현주소와 개선방향 우리는 급격한 변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와 촛불시위, 미국·EU 등 거대선진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축산업구조의 필연적인 변화, 그리고 DDA 다자협상 논의 및 후속여파 등 세계화에 따른 국내상황이 심하게 요동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인터넷, 소셜네.. 2011.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