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발전연구834 2013.03/ 농식품부 블로그/ 이동필 장관, 축산물이 안전하게 상품화되는지 현장을 점검 “먹거리에 대한 국민의 걱정이 없도록 하라” 거침없이 포문이 열렸다. * 본 기사는 밀착 동행취재로 장관말씀을 3인칭 관찰자로서 작성했음 * “죽은 소가 도축되었다는 소식에 깜짝 놀랐다.” 국민을 불안하게 하면 절대 안 된다며 사실 확인을 철저히 하여 위법 시 법에 따라 엄중하.. 2013. 3. 15. “돈육 도매시장 위주 가격 결정체계 바꿔야” .. 글쎄 이미 농장과 유통업체 간 원료돈 정산방법이 변화하고 있다. 박피돈 경락가격기준 지급률 67~71%, 탕박돈 경락가격기준 지급률 67~71%, 등급별 도체중정산 등 여러방식이 혼용되고 있다. 또한, 지급률 범위도 품질에 따라 차등적으로 거래되고 있다. 지역 차이도 많음 시장가격 형성에 초점.. 2013. 3. 14. 축산물 유통구조 복잡, 7단계를 2단계로(바로 보기) 설마설마 했는데... 여러분, 몇 단계 걸친 축산물을 드시나요? 아마, 유통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답을 주실 수 있을테다. 농가와 소비자는 글쎄라고 갸우뚱할테고. 실제, 아무리 우리나라 유통구조가 엉망이라고 치더라도 설마 7단계를 거쳐 유통되는 구조일까? 상식적으로 보자. 유통단계 축소의 의미가 무엇일까? 비용절감? 신속처리? * 쇠고기는 3~5단계, 돼지고기는 4단계, 닭고기는 2~3단계로 주로 유통되고 있다. 단계의 축소는 필요하다. 하지만, 이미 현존하는 필요에 의해 탄생된 루트(단계)까지 망칠 필요가 있을까? 시장에서 유통은 필요에 의해 생기고 필요에 의해 사라진다. 그렇.. 2013. 3. 14. 미국산 농산품 늘었지만 물가안정 효과 '미흡' 가격이 비교적 싼 수입산을 통한 물가안정 효과가 주된 목적일텐데 이렇게 나왔다는 것은 가격을 올려도 좋을만큼 수입산의 경쟁력이 높아졌다는 말인데, 어떻게 해야 할까? 국내산의 가격변동폭이 수입산 가격이 뛴 만큼 뛰었을까? 궁금해진다. 어쩌면 아닐텐데. 그렇다면, 결국 판로가 .. 2013. 3. 14. 직거래와 물류센터로 시장 보다 싼 대형마트 축산물에도 이런 바람이 불었으면 좋겠다. 그런데 아무래도 축산물의 특성상 어렵긴 하다. 생축 - 지육 - 부분육 - 정육 - 부위육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시공간적 제약이 따르기 때문이다. 패커가 대안으로 떠오르는 이때, 진정한 직거래는 계열화를 통해 산지와 연결되고 패커를 통해 물류 효율성을 꾀하면서 자체 브랜드로 시장을 점유할 때 가능할 텐데... 그래야,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보는데, 글쎄, 그 과정에서 눈총을 받지나 않을지 모르겠다. 눈총을 받지 않기 위해 시장점유율은 낮추면서 또는 적정 비율을 유지하면서 유통가격의 경쟁력을 높이는 일. 그런데, 과연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상황에서 가격을 낮게 판매하려고 할까? 아니라고 본다. 팔아주지 않아야 독점적 지위의 업체에 .. 2013. 3. 12. 2013.03/ 농식품부 블로그/ 2013.7월부터 개정 돼지고기 등급제의 성패를 좌우할 각자의 역할 돼지고기 등급제도가 2013.7월 개정을 목표로 추진중에 있다. 이에 대해 미리 알려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손해를 최소화하고 생산자, 유통업자, 소비자 등 여러 주체들이 관심 갖고 지켜볼 사항들을 사전에 짚어봄으로써 본 제도의 성공이 바로 돼지고기산업을 살리는 길임을 함께 나누고 싶다. 우리나라에서 돼지고기 등급제도는 1993년 시행되었다. 돼지고기 등급제도는 미국에서 1949년부터, 일본은 1964년부터, EU는 1975년부터, 캐나다는 1986년부터, 호주는 1987년부터 시행되었음을 볼 때 길게는 44년, 짧게는 4년 정도 차이를 두고 시행된 셈이다. 올해를 맞아 20년째다. 이제까지 무르익을 수 있도록 물심양면 쏟아붇고 여러 반향과 시도를 해봤다면 이젠 좀 더 책임있고 자세를 바로 세울 약관(弱.. 2013. 3. 5. 2013.03/ 등급정보지/ 원료돈 정산방식에 따른 한돈 농가소득 비교 □ 원료돈 가격정산방식 비교 ○ 도체중 등급별 정산방식 : 개체단위 도체중량 x 등급별 평균가격 ± α ○ 생체중 지급률 정산방식 : 차량단위 생체중량 x 지급률(69~71%) x 평균경락가격 ± α □ ‘13.1월 돼지 100두 출하 시 정산방법별 농가소득 비교 ○ 등급별 정산방식이 지급률 정산방.. 2013. 3. 4. 2013.03/ 농식품부 블로그/ 외국과 다른 쇠고기 시장에서 활로 모색 우리는 쇠고기를 즐겨 먹는다. 오랜만에 지인들과 만나 함께 들어선 한우전문점에서 숯불에 올려놓은 차돌백이, 살치살, 등심살, 채끝살, 아롱사태 등 모듬구이 한 상을 내심 언제 먹나 기다리다가, 지글지글 냄새를 풍기려하면 날름 집어먹는 친우가 야속하기만 하다. 남들도 우리만큼이.. 2013. 3. 1. 밀려드는 수입육…부산물도 봇물 밀려드는 수입육…부산물도 봇물 올 들어 육류 수입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이름조차 생소한 부산물까지 국내 시장에 반입돼 축산물 공급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 현상이 장기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쇠고기의 경우 올 1월 수입량은 2만8642t으로, 지난해 1월의 2만1077t보다 35.8% 증가했고, 돼지고기는 2만6042t에서 2만7387t으로 5.1% 늘었다. 닭고기 수입량 역시 지난해 1월 8844t에서 올해는 1만2691t으로 무려 43.4% 증가했다. 육류 외에 소·돼지·닭의 부산물 수입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어 주목된다. 올 1월 한달 동안 소창자 수입량만 768t(지난해 1월 498t)에 달했다. 소위(670t), 소꼬리(397t), 소족(223t)도 1년 전에 비해 수입량이 늘었다. 소볼살.. 2013. 2. 26. 축산물 유통의 주요 쟁점에 대해 고함 어디부터 끊어야 할지 모르겠다. 자꾸만 반복되고 있는 잘못된 연결고리를. 이용하고 이용당하는 관계 속에서 올바로 전달되어야 하는 유통지식이 오해 일색이다. 1. 기자에게 바란다면, 유통마진의 적정성을 구한 다음에 대국민에게 고하라. 2. 연구원에게 바란다면, 유통마진의 산출근.. 2013. 2. 21. 2013.02/ 농식품부 블로그/ 부농의 꿈, 돼지 출하 선별관리부터 농가가 울상이다. 돼지 경락가격이 kg당 3,000원 아래에서 형성되고 있다. 사료값은 올랐지, 경락가격은 떨어지지 손해가 이만저만 아니다 라는 사실을 예상할 수 있다. < 경매장면> 조금더 가격을 잘 받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던 중 경매시장에 출하되는 돼지들의 성적표를 분석해 .. 2013. 2. 19. 2013.02/ 농식품부 블로그/ 여러분, 식육가공품 판매업에 주목 돼지 1마리에서 생산되는 삼겹살의 양을 아는가? 돼지 1마리에서 생산되는 고기량을 출하평균체중 114kg 기준으로 보면 약 87.8kg이다. 그 중에서 삼겹살은 약 10.6kg이다. 생체중량 대비 약 9.3%, 정육량의 약 12.1%에 불과하다. 지금은 돼지고기 생산량이 풍족하다 못해 남다보니 삼겹살 가격 또한 평년 수준으로 100g 당 2,000원 아래에서 형성되고 있지만, 우리의 식성 때문에 또다시 언제 삼겹살이 '금겹살' 로 둔갑할지 모르는 상황이다. 우리는 삼겹살을 즐겨먹는다. 너무나 삼겹살만! 그렇다보니, 삼겹살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딸리거나 경쟁이 치열해지니 가격이 점점 비싸지고, 상대적으로 소비자가 덜 찾는 나머지 부위, 특히 다리살은 한없이 싸지고 재고로 남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처럼 불균.. 2013. 2. 17. 세척하지 않은 계란에 대해 바라는 게 있다면 세척하지 않아 표면 큐티클층이 그대로 있을 수 있어 '보호장치'가 굳건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그렇지만, 한계가 있어 보인다. 어찌 되었든 유통의 한 측면이니까, 그럴 수 있지만 아쉽기만 하다. 왜 국가에서는 세척을 유도하고 있을까? 왜 미국에서는 세척을 의무화 했을까? 왜 EU에서는.. 2013. 2. 4. 돼지가 수렁에 빠진 날, 그 속사정을 들여다 보다 돼지가 수렁에 빠진 날, 그 속사정을 들여다 보고 함께 고민한다.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할지. 1. 생산비 37만원의 속사정 □ 돼지생산 품질의 균일도가 낮아 고비용 저소득 구조 ○ 규격돈 생산율 : 63.6% 수준 ○ 출하 손실율(C등급 이하) : 36.4%에 육박 * 1차량(40두) 출하 시마다 약 840천원∼1,60.. 2013. 2. 1. 유통인이 폭리를 취한다는 시각은 잘못 우리는 노출을 즐긴다. 뜨거운 여름이면 해변가에 가서 옷을 벗어던지기도 하고, 바나나를 홀랑 벗겨서 까먹는 것을 즐길 줄 안다. 또한, 자신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CCTV에 노출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기 시작했고, 수많은 언론사의 뉴스 속에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 여기 '유통비용'에 .. 2013. 1. 31. 5대 농축산품, 유통업자 마진이 36% 축산물이 생산된 후 여러 유통단계를 거치면서 발생하는 비용이 채 50%도 되지 않는 것은 좀더 면밀한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가령, 계란을 농장에서 소비시장의 마켓에게 직거래한다고 하자. 이때의 유통비용은 얼마일까? 농장의 출고가가 100원/개일때 소비자 판매가격은 200원/개 이었다.. 2013. 1. 30. 박근혜 정부에 바란다는 유통 전문가들의 제언에 대해 골목상권에 지원금을 주는 단기적인 처방보다는 유통구조를 바꿔주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1. 소상공인 전용 물류센터 설립 2. 도매시장을 지역별로 설립 3. 협동조합 중심으로 공동슈퍼마켓 운영 위에서 제시한 안들을 보면 모두가 새롭고 신선하다. 설립한다는 것은 없던 것을 만들어.. 2012. 12. 25. 남미지역 대형패커의 발전과정으로 본 우리 축산업이 나아갈 길 - 4/4 남미지역 대형패커.vol4.egg 2012. 11. 21. 남미지역 대형패커의 발전과정으로 본 우리 축산업이 나아갈 길 - 3/4 남미지역 대형패커.vol3.egg 2012. 11. 21. 남미지역 대형패커의 발전과정으로 본 우리 축산업이 나아갈 길 - 2/4 남미지역 대형패커.vol2.egg 2012. 11. 21. 이전 1 ··· 37 38 39 40 41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