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공동자원화시설 150곳·에너지화시설 21곳 확충 |
2017년까지 가축분뇨 자원화율 91%와 공동자원화율 17% 달성을 골자로 한 중장기 가축분뇨 자원화대책이 나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일 2017년까지 공동자원화시설 150개소와 에너지화시설 21개소를 확충하는 한편, 공공자원화시설과 액비유통센터에 대해서는 비료생산업 등록을 의무화하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공동자원회시설 150개소가 추가로 설치되면 연간 약 450만톤의 가축분뇨를 비료로 사용할 수 있는 처리기반이 구축되며, 에너지화시설 21개소에서는 연간 약 44만톤의 가축분뇨를 처리하면서 8400만kW의 전기를 생산·활용할 수 있다. 액비유통센터는 2017년까지 287개소를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지원하고 이듬해부터 공동자원화시설로 통합운영할 계획이다. 정화처리 배출수의 총질소 함량 기준이 2019년까지 단계적으로 250mg/ℓ까지 강화되는 가운데 농식품부는 이번 중장기 대책 속에 개별농가 정화처리 시설 지원을 위해 축사시설현대화사업 또는 가축분뇨처리사업에 정화시설 지원항목을 신설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이와 관련 대한한돈협회는 정승헌 건국대 교수 측에 ‘가축분뇨 정화방류 현황 및 시설개선 비용조사’ 연구용역을 의뢰해 최근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방류수 수질기준이 단계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정화처리를 위한 추가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며, 정화방류 농가의 시설 보완 및 추가시설 비용을 추정한 결과 약 800억여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2016년 공공자원화시설, 2017년 액비유통센터를 비료관리법에 따른 비료생산업 등록을 의무화해 고품질 퇴·액비 생산체계를 구축토록 하고, 전체 액비생산농가를 대상으로 시비처방을 받은 액비를 농경지에 살포하도록 의무화 된다. 가축분뇨 업무를 전담하게 될 가칭 축산환경자원센터가 설립된다. 농식품부는 올 상반기 중으로 설립준비단 운영에 들어가 제도 및 예산을 확보한 후 2015년 출범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기관은 지역별 가축분뇨관리 기본계획 수립 및 전산관리를 통해 지자체 업무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축산 구현이라는 국정과제를 적기에 수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대책이 적기에 실행될 수 있도록 관계연구기관과 이해단체, 생산자단체 등과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자료출처:한국농어민신문 ... 작성일 2013-05-07 11:25:03 |
'축산이슈 > 시장상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대체 이게 뭐냐.. 치킨 반반, 두달새 50% 뛴 달걀값, 미국 광우병 쉬쉬 (0) | 2013.05.08 |
---|---|
남양유업, 밀어내기 횡포 혐의 (0) | 2013.05.08 |
계열화사업자 요청시 장관이 생산·출하 조절 (0) | 2013.05.07 |
춤추는 계란 값 (0) | 2013.05.03 |
동물이 행복하면 축산이 살찐다... 글쎄 (0) | 2013.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