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법의 필요성에 대한 내용을 보면, ① 기존의 법은 “산업과 농가의 경영안정 측면에서 법적 제도장치가 상당히 미흡”하다. ② 1963년에 제정된 현행 축산법은 오래되어, “현재 축산업과 한우산업의 여러 현안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고, 소 값 하락과 수급 불안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③ 현행법으로는, “발동되지 않는 수준의 가임암소두수와 현실성 없는 기준가격 설정으로 유명무실해진 송아지생산안정사업과 자문기구에 국한되어 현재의 위기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는 축산물수급조절협의회의 문제점, 소농 보호 규정의 미비”를 지적한다. ④ 탄소중립문제가 현안인 이때, 지금의 축산법으로는 한우산업을 지킬 수 없다. ⑤ 헌법 제123조에 국가가 농업·농촌을 보호하고 육성해야 할 규정들이 명확히 담겨있지만, 현행법은 헌법 제123조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http://www.farminsight.net/news/articleView.html?idxno=10887
일본의 축산 및 육용우 경영안정 법령과 시사점 - 팜인사이트
1. 한우산업기본법 추진 동향과 배경최근 한우협회를 중심으로 ‘한우산업기본법’ 제정이 추진되고 있다. 전국한우협회 김삼주 회장은, 2023년 2월 16일의 기자간담회에서, 한우산업기본법의 필
www.farminsight.net
더 세분화된 협회 설립에 나서는 이유는 현행체제가 각 품목이나 단체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업이 발전하고 전문화되면서 여러 품목을 관장하는 법률, 여러 품목이 참여하는 조직체로는 각 품목이나 산업의 발전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http://www.farminsight.net/news/articleView.html?idxno=10886
축산단체들은 왜 새로운 법률을 원할까? - 팜인사이트
[팜인사이트=김재민 기자] 요즘 축산업계에는 각 품목에 맞는 독자법률 제정에 대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전국한우협회가 추진하는 가칭 한우산업관련법, 대한한돈협회가 추진하는 한돈산업
www.farminsight.net
'축산이슈 > 시장상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돼지고기 이모저모 (0) | 2024.01.25 |
---|---|
中 보건당국, '호흡기 질환' 공식 경고 (0) | 2023.11.29 |
중국, 과잉 생산과 소비자 수요 약화를 감지한 민간 부문은 추가 투자를 꺼린다. (0) | 2023.07.17 |
CBDC 무용 대두 (0) | 2023.04.01 |
조짐 (0) | 202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