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이슈/시장상황

빅데이터의 방향성

by 큰바위얼굴. 2013. 9. 17.

새로운 사실을 안다는 것에 기분이 좋아진다. 내가 모르는 것을 남이 알려줄 때 그만큼이나 행복한 것이 또 있을까!

 

...

 

빅데이터 2.0과 정부 3.0

[머니투데이, 2013.9.3]

 

 

빅데이터가 화두다. 우리 사회 전체가 빅데이터에 매몰된 느낌이다. 빅데이터는 갑자기 생겨난 것 같지만 계속 있어왔던 현상이다. 스마트 기술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데이터수집기술과 분석방법이 새롭게 개발됐을 뿐이다.

전문가들은 머지않아 빅데이터1.0이 가고 빅데이터2.0이 도래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단순한 데이터의 양적폭증이 '빅데이터 1.0'이라면 초고속 망인프라와 데이터 분석력에 기반해 정밀하게 여과돼 최적화된 양질의 데이터는 '빅데이터 2.0'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사람들은 빅(Big)이라는 말을 양(量)의 개념으로 받아들여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수많은 데이터들을 빅데이터와 연관지어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본질적으로 빅데이터란 양적 문제라기보다 선별된 데이터의 질에 관한 문제다.

예를 들어 기업이 중요한 의사결정에 있어 양적 데이터에 의존하기보다 양질의 고급 데이터들을 분석해 통찰력을 끌어내는 정보최적화 방법을 구사하는 것이다. 이 정보최적화 과정자체가 빅데이터1.0의 일방향성이 아닌 쌍방향적 성격을 지닌다.

고객과 기업의 관계를 예를 들어보자. 빅데이터 1.0에서는 단순히 고객의 니즈와 소리를 분석해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데 그치지만, 빅데이터 2.0에서는 고객이 기업의 경영과정 전체에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고객과 기업의 관계는 종속적·일방적인 것 아니라, 상호작용적이다.

빅데이터2.0의 출현은 공공데이터 개방과 활용을 강조한 정부3.0 모델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정부가 일방향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던 것에서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정보 교환으로 바뀐 것이 정부 2.0이고, 정부 3.0은 이를 넘어 모바일과 빅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개인에게 차별화된 맞춤형 행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부 3.0에서 국민은 집단적 전체가 아니다. 개별적으로 수준 높은 고급 서비스를 합당히 받아야 하는 개개인 시민이다. 정부 3.0은 국민 개인의 목소리를 듣고 각기 다른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스마트 정부를 지향한다. 스마트 정부의 핵심은 투명성이고 그것은 공공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있다. 정부가 아무리 좋은 방법을 제공해도 대중이 이해하고 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 소용없다.

2009년부터 미국과 영국정부는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을 주요 의제로 추진 중이고 이 같은 흐름은 유럽 각국, 일본, 호주, 캐나다 등 전 세계로 확산되는 추세다.

공공데이터 개방의 주체는 중앙정부를 넘어 자치구로 확대되고 있다. 미국 뉴욕시는 부동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모든 시민에게 무료 제공하고 있다. 이전까지 부동산업자들이 독점적으로 이용했던 정보를 모든 시민과 공유해 부동산 거래의 공정성, 행정의 투명성, 부동산 시장 신뢰형성이라는 중요한 사회적 자본이 형성(Social Capital)되고 있다.

박근혜 정부도 '정부 3.0-개방, 공유, 소통, 협력'이란 목표 아래 대대적 공공데이터 개방을 추진 중이다. 교통·날씨·토지 정보부터 행정·교통사고·재난·교육 정보에 이르기까지 공공데이터가 개방될 때 기대되는 경제가치와 시민가치는 무한한 확장성을 가진다.

정부는 정부3.0을 통해 단순 데이터 개방을 넘어 공공기관과 시민이 새롭게 만나고 사회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새로운 행정문화를 확립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과 시민의 갈등비용, 시민의 정보탐색 비용 등 사회적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산업계에도 직접적인 경제효용으로 이어진다.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은 장기적으로 '공공정보 개방을 위한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 프라이버시 보호 등 예민한 문제도 있지만 예산, 인력, 법제도적 근거, 개방인식의 확산 등이 모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