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발전연구/전통시장

전통시장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by 큰바위얼굴. 2013. 12. 13.

전통시장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동아일보 2013.12.10

 

오늘날 경제가 발달하고 현대화된 상업시설이 확산되면서 전통시장의 경제적 비중은 축소되고 있다. 이런 여건에서 전통시장의 수가 몇 개이고 상인과 종사자 수가 몇 명이기 때문에 전통시장을 보호하고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약하다. 좀 더 중요한 것은 전통시장이 갖는 사회 안전망의 기능이다.

노동시장에서 경쟁력이 취약한 사람들이 직장을 갖지 못해도 남에게 손 벌리지 않고 스스로 일하며 먹고살 수 있는 터전이 전통시장이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보다 훨씬 경제적으로 선진화되고 유통산업이 발달된 국가에서도 전통시장을 보호하고 육성하고 있는 것이다.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여러 방안 중에 가장 큰 효과를 보이는 것이 ‘온누리상품권’이다.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에서만 통용되는 상품권으로 현재 11개 금융기관에서 판매하고 있다. 2009년도에 도입된 온누리상품권은 초기에 100억 원 정도 판매되었으나 공공부문의 선도적 구매와 민간기업의 적극적 참여 덕분에 2012년에는 4258억 원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온누리상품권은 기업의 이익을 전통시장의 상인들에게 환류하는 낙수효과를 유발하여 양극화 해소에 기여한다. 전통시장과의 상생 차원에서 대기업들이 대거 구입해 준 것이 온누리상품권의 보급에 큰 도움이 되었다.

기업형 대규모 점포에 익숙해진 소비자들을 자발적으로 전통시장으로 유인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온누리상품권은 소비자들이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기회를 갖도록 유인한다. 일단 시장에 와보면 소비자들은 상인들이 이전과 달라졌고 변화되었다는 것을 느끼게 되어 자주 방문할 생각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런 온누리상품권의 매출이 금년에는 매우 저조하다. 엉뚱하게도 통상임금 논란이 온누리상품권 구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이 추석, 설 등 명절에 급여와는 별개로 제공해온 온누리상품권이 통상임금에 포함될 개연성이 높아 구매를 기피하고 있다, 중소·중견기업 경제단체들이 각 회원사 기업을 대상으로 100만 원 이상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하자는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으나, 통상임금 문제에 부닥쳐 적극 나서는 기업이 드물다. 올해 온누리상품권 5000억 원 유통목표 달성은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상임금 문제가 전통시장의 어려움으로 확대되는 것은 누구도 바라지 않는 부작용이다.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우리 모두의 사회적 책임이다. 기술과 자본 없이 자유롭게 창업하고 열심히 일하면 걱정 없이 생업을 유지할 수 있는 전통시장이야말로 서민들의 창조경제 기반이다. 전통시장에 온누리상품권이 활발하게 유통되고 소비자들로 넘쳐나 서민경제가 활기를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전통시장을 바꾼 사람들 ③] 내 가게는 뒷전, 시장 살아야 나도 산다

 

이코노믹리뷰 2013.5.8

 

시장 문전성시의 비결, 商人三色 ③ 충남 홍성전통시장 김기호 씨

내 가게는 뒷전, 시장 살아야 나도 산다

사진: 이코노믹리뷰 이미화 기자

누군가 “사람이 그리워서 시골장은 서더라”라고 노래했다. 홍성전통시장을 찾은 날은 때마침 장날이었다. 장날이 되면 70~80세 된 상인들이 직접 농사 지은 쌀·보리, 수수, 깨 등 곡물류와 채소를 봇짐에 싸들고 시장으로 온다. 100년 이상 명맥을 이어온 전통시장답게 보부상도 눈에 띈다. 사방으로 뻗은 시장길을 드문드문 메운 장꾼들을 보고 있노라니 ‘사람이 그리워서…’라는 노랫말이 절로 생각난다.

장날 홍성전통시장을 찾으면 볼 수 있는 사람은 장꾼뿐만이 아니다. 마이크를 목에 걸고 시장 바닥을 활개 치는 김기호 씨도 볼 수 있다. 그가 넓은 보폭으로 걸으며 상인들에게 “장사 잘되시죠?”라고 물으니, 하나같이 “덕분에요”라는 대답을 건넨다. 김 씨는 홍성전통시장서 신발가게를 운영하는 상인이자 ‘장터문화해설사’다.

“우선 시장에 도착한 관광객들에게 전반적인 시장 소개와 홍보를 합니다. 그 후 각 점포를 돌아다니면서 ‘반값 경매’를 진행하는 거죠.” 반값 경매는 홍성전통시장에서 처음으로 시작한 프로그램이다. 이는 단순한 할인행사나 일반 경매행사와는 다르다. 관광객들이 동선에 따라 점포에 대한 설명을 들으며 쇼핑하면 점포 상인들이 자신의 경매 물품을 직접 경매한다. 상인과 관광객들 사이 유대감을 높이는 차원에서다. 그 중심에 김 씨가 있다.

“이를테면 3만원어치 홍성한우 600g을 1만5000원에 판매하기 시작하는 거죠. 낙찰가가 대부분 정가를 넘지 않기 때문에 반응이 아주 좋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지자체에서도 인정해 인근 전통시장까지 사업을 확장시켜서 ‘반값할인 장터경매 투어’ 프로그램까지 탄생시켰다.

단순히 행사를 진행하는 것에서 벗어나 어떡하면 관광객들이 홍성시장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을까 고민도 많이 했다. “시장 바로 옆에 로또 1등 당첨이 7차례 나온 가게가 있어요. 그 가게에서 로또를 20장 미리 구매해 놓고, 퀴즈를 낸 다음 맞히면 로또를 선물하기도 하죠.” 퀴즈에는 예컨대 “홍성에는 유명한 게 세 가지 있습니다. 홍성한우, 홍성전통시장, 그리고 뭔지 아세요? 마지막은 김기호, 접니다.” 이런 식의 농이 섞여 있다. 김 씨 특유의 쫀득쫀득한 입담은 관광객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해 보였다.

한창 사람들이 모이는 장날, 다른 점포 매출을 올려주면 자신의 가게는 언제 돌보나. 그는 “신발은 관광객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품목이 아니잖나”라면서 “장날이면 80대 아버지가 가게를 대신 봐 준다”고 했다. “한때 성균관 유림이셨던 분인데 장사 수완은 저보다 훨씬 나아요. 허허.”

김 대표는 홍성에서 태어나 5살이 되던 해 보령으로 이사를 갔다. 그 곳에서 중학교까지 마쳤고 고등학교는 공주에서 다녔다. 공부를 썩 잘해 서울 명문대에 진학했고 군대는 해병대를 지원했다. 그 후 무역회사에서 일하기도, 그리고 무역회사를 차리기도 했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다. “1997년에 사업에 실패하고 10년 동안은 그야말로 ‘야인 생활’을 했어요. 스스로 몸을 꽁꽁 숨겼죠. 자존심이 강해서 그런지 그런 모습을 아무에게도 보여주고 싶지 않더라고요.” 그렇게 장기간 타지를 맴돌 때, 아내는 아이를 데리고 이별을 고했다. 심신이 지쳐 다시 찾은 게 고향 홍성이었다. 2008년, 다시 시작해보자 해서 시장 한편에 자그마한 신발 가게를 열었다.

매출이 쏠쏠하진 않지만 그는 시장을 떠나지 않을 거라고 했다. “힘들지 않다고 하면 거짓말이겠죠. 근데 시장에 남을 겁니다. 얼마 전에는 빚을 내서 점포 재계약도 한걸요.” 그는 신발가게는 항상 뒷전이었다. “어쨌든 저는 밥은 먹고 살잖습니까. 신발 잘 팔리는 것보다 우리 시장이 살아났으면 좋겠어요. 얼마 전 내포신도시에 충남도청이 들어왔어요. 도청과 MOU를 맺어 도청 직원이 홍성시장을 좀 더 자주 이용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는 시장 활성화 외에 다른 바람도 조심스레 곁들였다. 그가 누비던 시장골목에서 ‘새장가’를 드는 거다. “날씨 좋은 5월, 홍성전통시장 골목에서 야외 결혼식을 하고 싶습니다. 상인들과 관광객들 축하 속에, 국수와 국밥을 대접해 주면서요.”

 

 

...

 

 

고등학생들 ‘전통시장 살리자’ 착한 발걸음

 

경기일보 2013.10.2

 

파주세경고, 시장 견학하며 이름짓기ㆍ광고찍기 등

 

28일 파주 세경고등학교(교장 오순석) 350여 명이 금촌 전통시장을 불시에 습격(?)했다.
시장을 급습한 세경고 학생들은 교내 ‘사투리’(사고 싶고 투자하고 싶은 이곳 전통시장) 동아리.

사투리 회원들은 이날 ‘시장대첩’이라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금촌 전통시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슬로건인 ‘전통시장이 살아야 지역경제가 삽니다’를 새긴 유인물을 시민들에게 배포한 데 이어 500여 명의 서명운동도 함께 벌였다.

이동통신사인 KT IT서포터스의 지원 아래 학생들은 점차 입지를 넓혀가는 대형마트에 맞서 고전하고 있는 전통시장을 살리고자 사투리 동아리가 함께 나서면서 모처럼 금촌시장은 활기가 넘쳤다.

이들은 시장을 견학하고 ▲아름다운 시장 이름 짓기 ▲시장방문 인증 샷 ▲전통시장 휴대폰 광고 찍기 ▲시장약도 그리기 등의 미션을 수행하면서 구슬땀을 흘렸다.

오순석 교장은 “침체된 전통시장을 살리고자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며 “작은 정성이지만 이를 통해 우리의 전통시장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세경고 사투리 동아리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자발적으로 구성된 동반성장 사회참여 동아리로 사회적 기업 서스넷에서 2013년 사회참여 10대 동아리에 선정됐으며 9월부터는 경기도 교육청 민주시민 교육과 NGO 100대 동아리에 선정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