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발전연구/경매시장

2014.1.1.~2016.8.23. 쇠고기 경매가격 흐름 분석 : 고가 시장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by 큰바위얼굴. 2016. 8. 24.

쇠고기 경매가격 흐름 분석

쇠고기 경매가격에 초점을 두고 유통비용 상하국면을 추산하고 정작 관심을 줄 범위에 대해 풀어본다.

 

 

일반적 시각 : 2007년부터 2013년 평균

평균한 월별 가격을 보면 5월 저점, 9월 고점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는 대체로 이렇게 생각하곤 한다"

 

 

 

 

 

특이요소 : 2014년 편평, 2015년 오름세, 2016년 고공행진중 ==> 저점과 고점의 의미가 미약

2014년은 저점과 고점의 의미가 없는, 말 그대로 특수하지 않은 상황을 맞이했다. 그런반면, 2015년은 연초 저점 국면에서 연말 고점방향으로 상승했다. 2016년은 그 연장선상에 있다.

 

 

< 쇠고기 경매가격 흐름 : 2014.1.1 ~ 2016.8.23 >

 

 

유통비용 : 농가수취가격 상승 기반에서 소비자가격 상하국면에 따라 유통비용 증감

2014년 대비 2015년은 쇠고기 경매가격이 올랐다. 상반기만 놓고보면 엇비슷하기 때문에 유통비용의 상하 국면은 소비자 판매가격에 달려있다. 그렇지만 하반기만 놓고보면 확연히 구분된다. 2014년 보다 월등히 높아진 농가수취가격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농가에게 준 '매입가격'의 상승분만큼 유통은 판로를 열기 위해 부던히 애썼음이 자명하다. 잘 팔아서 소비자가 기꺼이 지불했다면 그 '판매가격'에 따라 유통비용의 상하 국면이 달라진다. 대체로 준 만큼 번다는 가정을 해볼 때 (물론 높은 매입비용 대비 판매가 순조롭지는 않았다는 건 고려치 않을 경우) 15000원/kg 하던 소고기를 20000원/kg 주고 샀고 소비자는 그에 상응하게 지갑을 열었을 것이다. 비싼 만큼 비싸게 사서 먹었다.

유통비용은 (농가에게) 주고 (소비자에게) 받은 차액으로 계산하게 되니 유통비용에 든 금액은 당연히 커졌을 것이고, 유통비용 비율(%)은 면밀히 분석해 봐야 하겠지만 올랐을 개연성이 크다. 손해를 봤다면 망했다는 얘기고 영업을 계속 하고 있다면 이익을 냈거나 일시적인 손절매 상황에 처해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손절매라고 하더라도 엄격히 말하면 망하지 않을 정도, 즉 사업을 유지하는데 드는 최소한의 비용은 소비자 지불가격에 반영했다는 말이기 때문에 그 볼륨은 2014년과 비교할 바가 아니다. 이는 현재진행형이며 15000원/kg에 사 먹었던 소고기를 이제는 20000원/kg 넘게 주고 사 먹고 있다는 말이다.

 

 

 

< 쇠고기 경매가격 월평균 추세 : 2014.1.1 ~ 2016.8.23 >

 

 

과연 쇠고기 한 덩어리에 +5000원/kg 을 더 주고 사야 하는가?

경매가격의 5000원/kg은 소비자 가격일 때 1.7~2.4배 커짐을 볼 때 10000원/kg 이상을 더 주고 사 먹는다는 말인데, 과연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가? 가격이 높아졌음은 우리가 살만해졌다는 반증이고 그만큼 주고 먹을 수 있다는 건 여전히 쇠고기를 즐긴다는 말과 같다. 그렇지만 이는 대다수의 대중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미식가를 비롯한 일부 쇠고기 애호가에게 적용된다. "나야 뭐, 미역국이면 돼"

 

그 만한 댓가를 지불한다는 것에 대해 다른 의견을 내고 싶지는 않다. 그렇지만 "너무 한다"는 말은 모두의 속내일 것이다. 들인 만큼 벌어가는 것이야 말에 뭤하겠는가. 다만, 그만한 벌이에 들인 세금이 적지않다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다. 누군가 욕을 먹는다는 건, 부러움의 대상이기 때문일 수 있겠지만 주로 형평성에 어긋나기 때문에 그렇다. 자기가 잘 해서 벌었다면 따짐은 적어질 것이다. 아니 따져도 무시하면 족할 것이다.

그렇지만, 자기만 잘했다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특히, 고가의 명품(한우 등)은 더욱 그런 갈등상황에 놓여있다. 먹거리를 위해, 식량주권을 위해 라는 다양한 이유를 붙인다고 하더라도 고가의 명품은 대다수의 국민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크다. 농사를 지으니까, 우리 농민이니까, 한우를 사육하니까 라는 정에 기댄 시선은 앞으로 부의 쏠림과 부의 증진과 함께 기업가적 관점에 따라 확연히 달라질 것이다. 이는 대중성을 잃어갈 수록 빨라질 것이다. "우리", "한우", "자존심" 이런 말은 마케팅 시장에서는 더이상 의미가 없다.

 

 

 

 

 

2014년에는 6월과 9월에 고점을 형성했다. 5월 저점, 9월 고점(추석 명절 선물용 특수)이라는 상식이 깨진다.

 

 

< 쇠고기 월평균 경매가격 : 2014년 1+ 기준 >

 

 

2015년은 말그대로 상승 국면이다. 월별 차이는 무색하다. 이 말은 계절적 소인이 큰 의미가 없다는 말과 같다. 팔리니 가격이 오른다.

 

 

< 쇠고기 월평균 경매가격 : 2015년 1+ 기준 >

 

 

 

2016년은 4월, 6월 고점을 형성한 후 7월, 8월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는 20000원/kg 대에서의 이야기 이다. 계절적 수요가 큰 의미를 상실했다면 과연 김영란법에 따른 선물값 논쟁을 벌일 이유가 있을까? 한우시장은, 그리고 그로 말미암은 경제는 잘 돌아간다. 수급 상황 속에서.

 

 

< 쇠고기 월평균 경매가격 : 2016년 1+ 기준 >

 

 

다시 돌아와서, 유통비용에 대해 추산해보자.

고가의 가격을 형성한 한우고기, 농가수취가격은 역대 최고로 쳐준다. "전년 대비" 비교할 의미조차 없다. 오히려 "5년전 대비"로 비교해 볼만하다. 구제역 전과 비교할 때 과연 한우고기는 농가에게 득일까? 손실일까?

 

높아진 가격에 부담을 진 건 유통과 소비자다. 10만호 농가는 배를 불리고 유통은 가끔 찔끔 이벤트 행사로 국민의 시선을 돌린다. "세일~"

과연 가당키나 할까? 높아진 매입비용을 세일로 덮을 수 있을까? 결국 마케팅 이라는 건데, "싸게 판다" 라는 인식을 계속 주면서 1년 전체 농가는 이윤을 취한다. 이는 뭐라 할 문제가 아니다. 지극히 당연하다. 다만, 높아진 가격에 5000만명 국민이 부담을 지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10만호 농가  vs 5000만명 국민.

 

이제까지 고생했으니 당연할까?

과연 앞으로 언제까지 높은 가격에 소비자는 지갑을 열어야 할까?  "누가 사 먹으라고 했나?" 하는 말이 들리는 듯하다. 고가의 명품백, 과연 애지중지할 이유가 있을까? 이미 소수의 일부를 위한 산물임이 분명하다면 시선을 다른 쪽으로 돌릴 필요가 있다. 돼지, 닭, 계란은 그 대상이 아니다. 이미 벤츠를 타는 농가. 부익부 빈익빈이 심각하지만 결국 정책의 수혜는 자격을 갖춘 이들에게 돌아가게 되니 그 부의 차이는 더욱 벌어질 것이고 국민적 관심에서 내려놓을 필요가 있다.

 

농가, 유통, 소비.

 

시장을 그냥 들여다 보자. 그리고 그네들 속내를 꽤뚫고 국익이 되는 방향으로 나서면 된다. 패러다임은 소비로 전환되었다는 말을 많이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위함'의 대상은 농가다. 관행적이고 습관적으로 일처리한다. 될 성 싶은 씨앗을 키우기 보다는 이미 했던 과거를 되풀이 한다. 뭣모를 도전을 안 한다. 이는 시장을 한쪽으로 보기 때문은 아닐까.

 

자주 생각난다. 농업에 노무현처럼 솔직해 보라는 말이.

 

농업에 노무현처럼 솔직해 보라 | 시장상황 2015.12.03 10:56

농업에 노무현처럼 솔직해 보라 한국경제 2015.12.2 "농업도 시장에서 해결하자"던 노무현 하지만 농민은 여전한 폭력 시위에 여·야·정은 FTA상생기금 야합까지 다른 건 몰라도 농업에 관한 한 나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생각을...

 

도대체 난 뭘 바라는 걸까? 하지 말라는 말인가? 시장을 육성(?) 하라는 말인가? 과연 시장을 제대로 보라는 말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시장은 활발하다. 반복되다보니 관행적인 룰이 생긴다. 그 룰은 "시장친화적"이다. 결코 국민친화적이지 않다. 시장친화적이라는 말은 시장에 국한된 소수를 지칭한다. 시장은 자율에 맡긴다 라는 말도 자주 회자된다. 시장 사람들은 제발 관심을 달라고 한다. 전통시장을 육성하고 (과연 지금처럼 해서 잘 될까?) 대형빌딩 숲은 확장되고 있다. 소포장 단위로 바뀌면서 위생은 강화된다. 널어놓고 파는 시장은 사라진다. 여기에서 시장은 어디를 말하는 걸까? 대다수의 국민은 대형마트에서 장을 본다. 가격이 높다. 먹어야 하니 산다. 가격 비교를 해도 뻔하다. 비슷한 가격대 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가격이 낮아진다고 국민에게 득이 될까? 산업규모가 줄어든다는 말은 팽창 보다는 위축이라는 말과 같은데, 시장이 그리고 시장과 연관된 국민이 잘 먹고 잘 살기 위해서는 계속 융성해야 하는데 과연 위축경제를 가져가야 하는지 이에 대한 판단은 서지 않는다.

 

시장에 대한 정의를 다시 세우자.

 

시장의 개념조차 농가만 위한다면 족하다 라는 시각에 부딪힌다. 정작 시장은 돌아가고 국민은 시장에서 경제활동을 하는데 초점은 농가 일색이다. 그렇다고 유통에 초점을 맞춘다. 과연 좋아할까? 투명해진 가격만큼 그들은 반감을 가질 것이다. 아니, 이미 거대한 덩치를 갖추고 있다면 겁낼 이유는 없겠다. 자기맘대로 할 수 있는데 굳이 신경 쓸 필요가 있느냐는 말이다. 눈치는 보겠지만.

 

그렇다면, 두번째는 시장에서 자기맘대로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통제해야 한다.

 

특히, 우리처럼 가격에 민감한 국민은 첫째도 가격이요, 둘째도 가격이다. 가격 자체에 대한 통제를 말함이 아니라 가격결정구조의 허점을 매우고 가격을 공개해야 한다는 말과 같다. 원산지 표시처럼 "내가 기꺼이 지불한 가격에 대해 알권리가 있다" 라는 실현일 뿐이다. 애썼으니 당연히 발생한 이윤은 인정된다. 그렇지만 이해불가 이윤은 퇴출대상이다. 이윤 책정에 관심이 적은 지금, 거꾸로 말하면 시장은 활황인가?

 

과연 누구를 위해 애써야 하는지 분명히 정하고 그 정함에 대한 노력이 그 대상에게 향했으면 한다. 수급 조절은 엄밀히 말하면 소비자단체 80%, 그외 20% 비중이 맞다는 말이다. 절대다수의 국민 수의 의견이 반영되려면.  그런거다. 김성호.

 

 

 

분석시트_M.xlsx

 

분석시트_M.xlsx
0.13MB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