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시 고려사항
계란 동반성장 적합업종 선정에 관한 이야기. 계란,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 할 수 없다와 해볼 수 있다의 차이 | 발전연구 2014.10.23 13:15 참여를 제한함으로써 중소기업에게 기회를 주기 위함으로 이해하고 있다. CJ, 풀무원, 오뚜기 등이 대상이 된다. 계란의 유통은 70~80%, 크게는 현행법상 100%가 식용란수집판매업체를 통해 이뤄진다. 총판, 대리점으로 이어지는... 그리고, 지금 이 시간 다른 나라에서 주로 회자되는 이야기. 일본 계란 소비시장과 우리 | 발전연구 2014.07.23 04:35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에서 계란 신시장 창출을 위한 일본 계란시장 조명이란 주제로 기고를 요청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 세계 계란위원회 , 일본 농무성 , alic, 계민신문사 , 일본란업협회...
2015. 4. 7.
축산 유통정책의 추진방향
축산 유통정책의 추진방향 1. 축산물 유통구조 개선방향 1-1. 규모화 : (생산) 조합공동법인 출범, (유통) 유통단계 축소, 비용 절감 사례 1) 농협 안심축산 패커 출범(‘15.3.2), 이마트 미트센터, 하림·이지바이오 계열화 사례 2) 생산브랜드 약화, 농가 직거래 유통브랜드 확산, 프랜차이즈 시장 확대 1-2. 합리화 : 유통정보의 공개 확대, 가격결정방식 개선, ICT 융복합 활성화 사례 1) 유통정보 실용화사업 신규(’14.6), 유통실태조사 본격 시행, 가금가격 결정방식 개선 사례 2) 양돈 사양기반 ICT구축(농정원), 한우 품질 유통경로별 디지털 정량화(성균관대) 2. 친환경 축산 육성 2-1. 친환경인증제 개편, 직불제 활성화, 유통기반 구축, 기초통계 구축 등 * 친환경 축산물 유..
2015.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