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차 산업을 육성하는 방향에서 정책에 부응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기획해보았던 보고서입니다. 식육가공품 판매 육성방향, 구제역 등 질병발생으로 인한 이동제한을 감안한 지역 내 패킹플랜트 시스템 구축과 지역단위 방역, 그리고 관광자원화에 중점을 두고 연구했던 자료입니다. 전국을 이렇게는 못하더라도 광역단위 1개 정도는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지자체 관계자 및 업계에서 관심갖을 만하다고 생각됩니다. 참고바랍니다. 김성호.
..........
"중소농에 제조·관광 결합 … 6차산업 키워 농촌 살릴 것"
[중앙일보] 입력 2013.08.16 00:12 / 수정 2013.08.16 00:17농업 현장 찾은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 동행 인터뷰
더 편리해진 뉴스공유, JoinsMSN 뉴스클립을 사용해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기자는 2, 3일 이 장관의 경상남도 함양·산청 현장 방문에 동행했다. 함양과 산청은 6차 산업의 대표적 사례가 되는 지역이다. 함양은 산지가 군 전체 면적의 78%에 달하는 단점을 역이용해 산양삼을 재배·가공해 축제로까지 연결하고 있다. 함양 바로 옆인 산청도 한약재의 원료가 되는 약초 재배를 군의 발전동력으로 삼고 있다.
함양 산양삼, 산청 약초 6차산업 대표사례
- 주말마다 현장을 찾아다니는 이유가 뭔가.
“3월 첫 방문지로 전라북도 고창과 완주를 가면서 왜 농촌 현장을 찾아야 하는지 스스로 물어봤다. 현장은 시시각각 변한다. 정책과 현장의 괴리는 현장 방문을 통해 줄일 수 있다. 정책 수요자의 눈높이에서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방향을 제시하려면 먼저 현장에 가서 소통해야 한다.”
-중국과 FTA 협상이 진행 중이다. 타결되면 농업은 대표적으로 피해를 볼 산업인데.
“중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농업 생산구조가 유사한데, 농산물 가격은 비교하기 힘들 만큼 싸다. FTA가 높은 자유화 수준으로 타결될 경우 우리 농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때문에 정부는 1단계 협상에서는 예외적으로 취급되는 농산물의 비중을 최대한 확대하는 등 단계별 협상을 추진 중이다.”
-농촌의 살길을 ‘6차 산업’으로 제시했는데.
“한국 농업의 살길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평균 5ha(5만㎡) 이상의 논을 보유한 전업농은 나름대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니 그대로 육성하면 된다. 둘째, 영세 고령자는 농업인력이라기보다는 복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문제는 농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농이다. 규모의 경제가 되지 않아 경쟁력이 없다. 이들을 마을 공동체, 마을 기업으로 키워내야 한다. 여기에 필요한 게 바로 6차 산업의 개념이다.”
도시의 자원·네트워크 심는 재능기부 절실
-노인밖에 없는 농촌에서 누가 어떻게 6차 산업을 만들어내나.
“그래서 필요한 게 바로 재능기부다. 농촌을 6차 산업화하려면 누군가 ‘씨’가 되어야 한다. 농업마이스터고를 졸업한 영농후계자나 도시의 활력과 경험·자원·네트워크를 농촌에 심는 재능기부가 절실하다.”
-이상기후로 농산물 가격이 마구 뛴다. 가격안정은 현 정부의 대표적 숙제 중 하나인데.
“사례를 얘기하겠다. 7월 이후 양파 가격이 ‘심각’ 단계에서 ‘안정대’로 진입한 데는 이 정부 들어 처음 생긴 ‘농산물수급조절위원회’의 역할이 컸다. 5월 양파 농사가 잘됐는데도 이후 양파 가격이 뛰는 이상 현상이 발생했다. 예전 같으면 양파를 긴급수입해 가격을 안정시키려고 했겠지만, 이번엔 그러지 않았다. 생산자와 유통·소비자·학계 등으로 구성된 ‘농산물수급조절위원회’를 열어 생산·유통 부문을 설득했다. 결국 7월 들어 양파 가격이 내리기 시작했다. 만약 그때를 못 참고 양파를 수입했으면 가격이 폭락했을 것이다.”
배추·무·고추·마늘·양파 값 안정 유지할 것
-앞으로 농산물 가격의 폭락과 폭등은 없을 것이란 뜻인가.
“당장 오르는 것에는 사실 답을 찾기 쉽지 않다. 모든 품목을 다 이렇게 할 수는 없다. 올해는 우선 가격 안정 5대 품목을 설정했다. 배추·무·고추·마늘·양파다. 적어도 이 다섯 가지는 잡을 수 있다. 내년부터는 품목도 확대할 예정이다. 고민해보겠다.”
-대표적 국정과제 중 하나인 유통 구조 개선은 해결이 쉽지 않은 해묵은 숙제인데.
“과거 정부는 산지(産地)와 농협을 중심으로 유통 구조를 고치려 했다. 직거래도 생산자 위주로 일회성, 산발적으로 추진됐다. 전체 유통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도매 유통을 건드려야 했다. 현 정부의 방향은 생산자·소비자단체가 주체가 되는 대안적인 유통 경로 비중을 전체의 3분의 1 수준까지 확대해 유통 경로 간 견제와 경쟁을 시키겠다는 거다. 이렇게 하면 특정 유통 주체가 가격 상승을 틈타 폭리를 취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장관은 취임 전까지만 해도 평생을 농업 연구에 몸담았다. 영남대 축산경영학과와 서울대 대학원 농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80년 농촌경제연구원에 입사해 2011년엔 원장 자리에까지 올랐다. 98년 여름부터 2년간 총리실 규제개혁위원회에 전문위원으로 파견돼 정책의 현장을 경험하기도 했다. 2006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농식품부 규제심사위원장을 맡았다.
................
'축산이슈 > 6차산업, 2013.~2014.'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장 안에 와이너리까지 갖춘 '포도의 달인' 안영식씨 "작지만 강한 6차산업 이루겠습니다" (0) | 2014.01.14 |
---|---|
'가족과 함께하는 낙농 체험' 농외소득 5년 만에 5억 (0) | 2013.10.24 |
창조농업 6차산업으로 희망미래 연다 (0) | 2013.10.21 |
6차산업, 현장 이야기를 들어보다 (0) | 2013.08.31 |
6차 산업 (0) | 2013.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