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발전연구/등급판정

국내 소산업에서의 소도체 등급제도의 역할

by 큰바위얼굴. 2015. 11. 24.

국내 소산업에서의 소도체 등급제도의 역할. 2015.11.23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주선태 교수의 발표내용임. 참고바람. 김성호.

 

 

 

 

 

< 김성호 의견>

 고급육 선호가 높아졌다는 측면에서,

 1. 정부정책은 동물성 지방 섭취를 고려한 육질 중심 정책을 펼쳤다.

 2. 생산자는 종축개량과 기술개발을 통하여 차별화된 맛을 구현해 냈다.

 3. 유통업자는 생산된 고급육에 가치를 부여(예, 이마트 넘버9)하여 판매한다.

 4. 소비자는 자기가 먹고싶은 고기(친환경, 1등급, 찜, 국거리 등)를 구입하여 소비한다.

 

정부~생산~유통~소비가 잘 어우러져 지금과 같은 한우산업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 김성호 의견>

하루 아침에 지금과 같은 산업생태가 조성된 것은 아니다.

투입된 비용 대비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고도화'하는 시점에 놓여있다.

 

 

 

 

 

 

 

 

 

 

 

 

 

 

 

 

 

 

 

 

 

 

 

 

 

 

 

 

잠깐!

농가의 폐업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다.

소를 키워 대학 보내는 가계농 형태(순수농민)의 영세성은 벗어났다고 보여지며, 이제는 규모화를 통한 억대의 부농으로 기업농 형태(사업농민)로 전환되었다. 현재진행형이다. 농가의 폐업을 구조조정 또는 규모화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해서 볼 필요가 있다.

 

 

한우고기는 수입쇠고기와 무슨 차이가 있습니까?

물어보자.

 

 

 

 

 

 

 

 

 

 

 

 

 

 

 

등급 한우에 친환경을 덧씌우자. 김성호.

 

 

 

 

 

 

 

 

 

 

 

쇠고기의 효용성을 말하고 있다. 효용성은 경제적인 관점이다. 경제적인 관점은 선택할 수 있다.

 

 

 

 

 

 

 

 

 

 

 

 

 

숙성육은 시장에서 차별화된 마케팅으로 판매하고 있다. 틈새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높은 가격으로 팔리고 있다.

만약, 숙성육을 일반화 한다면?

(사회적인 비용이 증가한다. 지금 보다 비싼 가격을 주고 쇠고기를 사 먹어야 한다. 틈새시장이 아닌 주류시장으로 성장한 만큼 다른 부분의 요구가 증가할 것이다. 고로, 일반시장의 경우 사회적인 비용이 증가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 관련 : http://blog.daum.net/meatmarketing/265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