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가 정해야 한다는 건 위험하다.
임금, 생활, 업무..
모두 시시콜콜히 정하려 한다면 인간으로서 자율적으로 생각할 권리는 어디로 향할까?
작금의 정부는 "정한다."
이제까지 다 문제니 바꾼다는 이유가 근거다. 정반합의 원리에서 '반'을 택했다고 본다. '합'을 택하지 못해 아쉽다. 무료급식을 시행해놓고 예산이 떨어져 멈췄던 일이 떠오른다. 예산의 총량적 관리로 타개하겠다는데 지금 보다 좀 더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본다. 김성호.
왜 국민 모집단을 대상으로 실험, 시험을 할까? 그 만큼 민감하게 연결되었다는 건가?
'축산이슈 > 소득주도성장론, 2017.~20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득주도성장으로 저성장 해결” vs “단기 부양책일 뿐” (0) | 2017.09.16 |
---|---|
근로기준법 제6조(균등한 처우)에 대한 확대 해석 : 사용자(정부) vs 근로자(기업 또는 국민) (0) | 2017.08.20 |
"거주하지 않는 집은 파세요"라는 말은 빚내서 집사라는 말과 뭐가 다른가? (0) | 2017.08.06 |
8.2 부동산 대책 후속 검토사항 정리 : 심적 갈등 (0) | 2017.08.03 |
문 대통령이 말하는 "사회적 가치" (0) | 2017.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