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발전연구834

"축산물 도소매가격은 비대칭적이다"라는 주장이 틀린 이유 아직 읽지 못한 분들은 다음글을 먼저 보시지요. > 유통마진 지나쳐... 에이 설마, 그럼 벌써 망했겠지 http://blog.daum.net/meatmarketing/1725 국감을 대비하면서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돼지고기 유통마진 지나쳐... 단계마다 가격 껑충" 이라면서 마치 그럴듯한 해석이 유포되면서 공감대를 형성해나가고, "가격 비대칭성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불만" 이라는 말에 대해서는 그럼 유통인은 뭐지? 하는 의구심을 자아냅니다. 자문자답을 해봅니다. 가. 가격 급등에 따른 요인을 유통에만 책임 전가하는 것은 非바람직 유통은 모든 생산물의 소비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더구나, 축산물은 도축장을 반드시 거쳐야 하는 구조로 소, 돼지고기를 생산한 후 식육판매점을 거쳐 소.. 2014. 8. 7.
친환경축산물 소비자 인식조사에 관한 검토의견 설문 내용의 양은 1페이지를 넘는 순간부터 응대자에게 부담을 가중시킵니다. 그래서 조사분량이 많을 경우에는 응대사례를 크게 제시하여 끝까지 진행토록 유인하는 경향이 많으며, 조사분량이 적을 경우에는 핵심사항 중심으로 간략하게 정리하여 쉽게 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기에서 설문조사의 내용을 크게 “상시 구매자”와 “간혹 구매자 또는 무경험 구매자”로 구분했다고 보는데, 설문조사의 설계방향에서 설문내용을 구분하기 보다는 해당 사항 중심으로 설문에 응할 수 있도록 스토리 형태로 정리가 필요합니다. 상시와 간혹, 또는 무경험을 구분하는 잣대는 응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사항이지 결코 조사자가 구분할 성질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며, 물론 조사시점에 구분토록 유인해도 좋겠지만 분량도 5페이지요, 내용도 직감적인 .. 2014. 8. 3.
도축장 총량제 도입(인위적 신규시장 억제) vs 시장자율적 구조조정 규제는 파생적인 혜택과 불이익을 함께 가져온다. 취지가 어떠하든지 말이다. 도축장 총량제가 만약 기득권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면 이는 도축장 구조조정의 방향(규모의 경제화)과 어긋나는 면이 있다. 현행법 상 폐수처리용량, 시설면적, 예냉공간 등을 통해 이미 도축장 적정규모를 산출할 수 있으며, 정작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도축장 가동률이 현저히 낮다는 사실에서 볼 때 도축업 허가관리에 활용하자는 주장은 규모를 통한 관리가 아니라고 보게 된다. Q. 도축장 가동률이 현저히 낮음에도 망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Q. 외국계 기업에서도 충분히 우리나라 도축업에 뛰어들 수 있음에도 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일까? (참고 : 세계 대형패커의 발전과정으로 본 우리나라 대형 축산기업 도입방안 http://bl.. 2014. 7. 31.
쇠고기 유통과 이력제 현황 모아봅니다. 김성호. 2014. 7. 28.
국가별 주요 돼지고기 이력제 비교 국가별 주요 돼지고기 이력제 비교 구 분 한 국 프랑스 영국 독일 주관기관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부 식품총국 (OLE&DGAL) 환경농림부(DEFRA) 연방식품농림부(BML) 실시근거 가축 및 축산물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 (‘13년 12월 27일 전부개정) EU식품관련법178조(178/2002)로 의무화 Directive No 2008/71 0f.. 2014. 7. 25.
(상담) 제주흑돼지 혹은 국내산 돼지고기를 중국으로 수출이 가능한지? [질문내용] 제주흑돼지 혹은 국내산 돼지고기를 중국으로 수출이 가능한지? 저는 중국 상하이에서 고깃집을 하고 있습니다. 많은 외국 사람들이 한국을 다녀오고 한국 돼지고기가 맛있다고들 말이 많습니다. 몇가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지금 현재 한국 돼지고기를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나라 돼지고기를 중국으로 수출이 가능한지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우리나라 돼지고기, 참으로 맛있죠~~” 지글지글 숯불에 구워먹는 삼겹살과 깻잎, 상추, 마늘, 고추 등을 함께 넘길 때의 그 맛이란. 아쉽게도 수출에는 해당 국가 간의 협정이 있어야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와 중국 간의 육류수출에 대한 협정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수출을 하려면 수출품의 안전성이 검증되어야.. 2014. 7. 25.
구제역 백신, 돼지유행성설사병 백신.. 과연 최선인가? 구제역 백신에 이어 돼지유행성설사병의 백신까지 효능효과 논란에 빠졌다. 이런 상황을 보노라면 백신접종이 과연 최선이냐 라는 생각에 빠져버린다. 혹시, 방어대책은 살처분 아니면 백신인가? 누구를 위한 백신인가? 해야만 하는 일일까? 왜 지켜지지 않는가? 만약, 지켜지지 않은 단 1건의 이탈이 전체에게 피해를 주기 마련인데, 해야 할 일이라면 엄정한 조치가 필요한 일이며 해도그만 안해도 그만 이라면 하지 않아도 될 일이 아닌가 싶다. 혹시 백신하면 그나마 막아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보기에는 들이는 비용이 지나치게 과다해보인다. 방역은 건강과 생활과 밀접하므로 해야 할일과 하지 않아도 될 일이라는 이분법으로 접근하자. 김성호. > 관련글 : 돼지 구제역 백신 맞혀 피해 본다는데 … http://blog... 2014. 7. 23.
일본 계란 소비시장과 우리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에서 계란 신시장 창출을 위한 일본 계란시장 조명이란 주제로 기고를 요청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세계 계란위원회, 일본 농무성, alic, 계민신문사, 일본란업협회, 일본양계협회, 일본전농, 일본총무성 및 웹서핑한 결과를 놓고 묶어보았습니다. 당초 1페이지 반 분량으로 요청받았는데 읽어볼 꺼리가 많아 몇몇 자료를 제외하고는 원문으로 제공해볼 예정입니다. 또한, 일본 계란시장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관련사이트를 첨부하오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김성호. 0.7알 = 4,930,000,000(암탉) / 6,973,738,433(전세계 인구) 세계 계란산업의 사실들 지금 이 순간, 세계는 4,930,000,000마리의 암탉이 매일 알을 낳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암탉 한 마리는 매년마.. 2014. 7. 23.
높은 돈가는 출하물량이 급감한데 기인하기 보다는 심리적 요인이 커 세계적으로 PED 발생에 따른 국제돈가 상승 및 국내 유통업체의 국내산 돼지고기에 대한 조기 물량확보 측면이 크다고 본다. 7월은 출하물량이 어떠할지 유심히 지켜보자. 김성호. < 출하두수 비교 > 구 분 4월 5월 6월 2013 1,370,384 1,341,587 1,132,353 2014 1,378,303 1,251,169 1,131,962 (차이) ▲7,919 .. 2014. 7. 17.
유통마진 지나쳐... 에이 설마, 그럼 벌써 망했겠지 "돼지고기 가격이 유통단계를 거칠 때마다 급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과정에서의 유통마진이 지나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산지가격이 상승할 때 소비지가격도 오르지만 하락할 때에는 소비지가격이 충분히 내려가지 않는 '가격의 비대칭성'이 존재한다"고 한다. 너무도 .. 2014. 7. 15.
쇠고기의 부위별 도매가격이 다른 이유 쇠고기를 납품받는 음식점입니다. "구입한 쇠고기의 가격이 적당한가요?" 라고 묻네요. 그래서 대략 산출해 본 것으로 이는 참고할 사항이지 답이 아닙니다. 가격은 주고받는 거래의 관계에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쇠고기의 부위별 도매가격이 다른 이유는 소비자의 지불의사가 각 부위.. 2014. 7. 10.
(상담) 메쯔거라이 창업 메쯔거라이(식육즉석판매가공업) 창업에 대한 질문을 받았습니다. > 답변 : 축산기업중앙회 서울특별시지회(http://www.sfmp.co.kr/) 내 미트스쿨이 개소하였습니다. 식육즉석판매가공 전문가 과정인 "미트스쿨"을 개교하여 2014년 6월 16일부터 1기 수강생 30명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강좌를 .. 2014. 7. 8.
친환경축산 확대를 위한 고민 친환경축산의 확대에 대한 고민이 깊어갑니다. "유기축산 및 친환경인증제도 등과의 연계성 부족, 사료포 확보가 어려운 영세농가 사업참여 곤란 등으로 중단됐다"는 사실과 "주로 무항생제축산물에 지급되는 직불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라는 사실에 비춰볼 때 개선여지가 크다는 것 또한 당면한 사실입니다. a. 친환경축산 확대가 답일까? (육성방향에 대한 당위적 접근) z. 친환경축산 이대로 족한 것은 아닐까? (틈새시장 내 활로 모색; 자발적 차별적인 시장 형성) ..................(보도내용) 친환경축산 확대방안 제시 친환경축산 확대를 위해선 단일형태의 친환경안전축산물 직불제를 차등 운용하고 사료작물 및 친환경적 사료화에도 직불금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병오 강원대 교수는 .. 2014. 7. 8.
수출은 교환방정식(교환은 양국간 무조건 이익이라는)을 풀어내는 묘수 수출하자~ 어디로 팔껀데? 뭘 팔껀데? 받아는 준다던? 이러저러한 한계를 접할 때마다 "작디작은 나라에서 태어났음을 원망하지 않는다"라고 되새겨봅니다. 삶은 약육강식 임을. 갑을병정의 관계 속에서 때론 어처구니 없는 실수를 저질러보기도 하는데. 그래도 한 마음 한 뜻으로 "잘 해보세~"하는 공통점은 있습니다. 수출하고 떠올려 보면 우선 '팔아야 한다'라고 마치 강요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수입하면 받아들인 결과이고, 수출하면 팔아야 하는 행위임은 분명하겠지만 수출을 뚫기 위한 해법논의에서 조차 '수출 = 팔아야 한다'라는 정의는 경계해야 할 요인으로 다가옵니다. 왜냐하면 수출은 상대적인 가치이기 때문입니다. 자국과 타국 사이에서. 1. 미국 USDA/AMS(농업유통국)와 USMEF(미국수출협회) .. 2014. 7. 4.
혈액플랜트 공정 혈액플랜트를 건립한다기에 흥겨운 마음에 몇 자 적어보고, 얻은 자료를 공유해봅니다. 기자님, 자료 주신분, 그리고 APC에 감사드립니다. 우리나라에 딱 1개만 있어도 충분한 만큼 소유권, 운영방법, 공여방안, 수출방안, 재정자립계획 등이 함께 검토되면 좋겠군요. 김성호. > 관련글 : .. 2014. 7. 4.
한우 번식농가들의 소득을 보장해 주어야 하는지 한우 번식농가의 숫자가 크게 줄었다고 난리다. 실제 한우 사육호수는 (개인별로 느끼기에 차이가 있겠지만) 크게 줄어들고 있다. 그렇지만, 사육호수만 봐서야 하겠는가? 다음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먼저 살펴보자. 2007년 2034천두, 2008년 2269천두, 2009년 2477천두, 2010년 2762천두, 2011년 .. 2014. 6. 30.
한우 생산비 줄이는데 있어서 생산비 감축논의가 활발하다. 송아지 구입비를 낮추려고 비육과 번식을 함께 하는 일관사육 방식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한다. 여기에서 궁금해진다. (내가 알기로) 미국, 호주 등에서 송아지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번식농과 비육을 전문적으로 하는 비육농이 양분되어 전문화 방향으.. 2014. 6. 25.
축산물 유통실태조사의 발전연구 현재, 고민중인 사항임. 당장 다음주인 7월1일부터 시작되는 올해 축산물 유통실태조사를 위한 설계서(조사양식)를 보완하면서 내년부터 해야할 몫까지 감안하다 보니 복잡해진 머리를 식힐 필요가 있어 정리해봄. 김성호. 제1장. 축산물 유통실태조사의 큰 변화 모색 : 2012년 종전 조사하.. 2014. 6. 24.
축산물 유통정보 실용화 사업계획(2015년부터) 2014. 6. 24.
묻지마 폭등 '金겹살' 값... 아! 돼지유행병까지 지나친 해석과 대응을 삼가할지니... '10년말 구제역 발생, '11년 돈육공급 비상, '12년말 폭락(입식 조기회복), '14년5월 폭등(??) 마치 "끝났어. 끝났어" 하던 때. 그런데 태부족했던 사육두수가 할당관세 폐지 등으로 불(시장불안)을 지피고, 불과 1년 남짓 후 과잉공급이라는 이름아래 모돈감.. 2014.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