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올 미래, 2020년 축산업 시대상 진단
> 예고된 공판장 전성시대에서 경쟁력의 원천은 http://blog.daum.net/meatmarketing/2779 제2탄. 다가올 미래, 2020년 시대상 진단 부제 : 패커 주도의 시장에서 우리가 기대할 것은 무엇인가? 이미 앞서 우리는 “예고된 공판장 전성시대에서 경쟁력의 원천은?”이란 주제로 패커의 추진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런데, 지역거점별 패커는 대전충남양돈조합, 도드람양돈농협, 부경양돈농협, 제주양돈농협, 서경양돈농협 등 이미 눈에 띄게 추진중에 있는데, 정작 패커에 대한 이상형이랄까? 왜 필요한지, 왜 추진하는지 그 의미에 대해서 잘 모르는 듯 싶어 이에 대해 고하여 함께 생각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다가올 미래, 2020년 시대상 진단 1. 이대로 추진된 패커는 출하물량을 충분히 확보할..
2016. 3. 31.
0.1% 도체율 변화는 수급조절의 Key
"사람은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라고 말했다. http://blog.daum.net/meatmarketing/2912 에서 살펴본 내용을 떠오르는 대로 쓱~ 싹~ 20분만에 정리해본다. 틀려도 좋다. 맞으면 더 좋고.. ㅎㅎ 0.1% 도체율 변화 = 1년 출하두수(2015년) 883,593두 x 평균 도체중 420kg x 평균 경락가격 16,284원/kg (평균 소비가격 32,568원; 평균 경락가격의 2배 적용) 한우 1마리 가격 변화 ㅇ 농가수취가격 : (2014년) 6,582,287원, (2015년) 8,156,206원 ㅇ 소비자가격 : (2014년) 11,510,735원, (2015년) 13,946,894원 한우 수+거세 도체율(출하체중 대비 도체중량 %) 변화 체중은 늘고 지방두께도 늘고 ..
2016. 3. 23.
(논문) 경매시장 가격발견 기능이 문제라는데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
엉킨 머리 속 실타래 풀기 김성호, 2016.3.7. 접근1. 한돈 경매시장의 문제점 진단 및 가격발견기능 향상방안 연구 중에서, 다 알고 있고 유추가 가능한 부분은 간단하게 언급하고, (출하실태, 유통경로, 경매구조, 유통단계별 가격결정 및 활용 등) 출하태도와 경매경향 등에 따른 경매가격의 주요 문제점을 도출한다. 경매시장 내 중도매인 가격결정의 핵심요인을 분석하여 경매시장의 가격발견 기능 향상방안을 도출한다. 품질내역에 따른 가격결정 비중 산출하기 성, 체중, 등지방두께, 고기량, 지방량, 마블링 등을 표준화 해 놓은 것이 등급기준이니 등급기준별로 세분해서 보면, 육량은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도체중 = 고기량 육질은 육색, 지방색, 근내지방도, 성숙도, 조직감 = 고기질 따라서 중도매인의 가격결..
2016. 3. 11.